검색 상세

한국교역자 사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ristian Education the developing program for pastor's wife in the Korean church

초록/요약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교회의 교역자사모를 대상으로 한 이론적 연구 및 실태조사연구를 바탕으로 사모를 위한 기독교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데 있다. 즉 한국교회의 ‘불모지’로 존재하는 ‘사모교육’을 통하여 사모의 정체성을 세우며 교회 안의 여성 성도들을 교육하고 훈련하는 사역을 사모가 해야 할 역할로 규정하여 그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앞서 제시한 목적은 교회 교역자 사모들이 당면한 3가지의 문제에서 이루어졌다. 먼저 사모의 자리 메김 즉, 사모가 평신도인가? 아니면 선교사의 아내처럼 사역자 인가? 라는 것과 둘째, 사모들에게 적합한 사역과 사역의 범위 즉 교회에서의 역할은 무엇인가? 세째, 교회에서의 사역 즉, 사모 역할 수행을 위하여 어떤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하는가?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모의 정체성, 사모의 역할 그리고 사모의 역할 수행을 위한 교육과 훈련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첫째, 논문의 Ⅱ장인 사모의 성경적 배경에서는 신학적 배경, 인물적 배경 그리고 기독교교육학적 배경을 통하여 사모의 정체성을 존재와 위치라는 측면에서 다루어준다. 성경은 사모의 정체성을 다른 인간과 구별되게 정의내리지 않는다. 따라서 한 인간으로서 사모의 존재와 위치 그리고 그에 따른 역할을 말할 수 있다. 신학적 배경에서는 창조신학을 통하여 사모를 최고의 창조물인 하나님의 형상개념으로 접근한다.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사모는 다른 사람들과 동일하게 하나님의 최고의 작품이란 존재론적인 가치를 지닌다. 그 뿐 만 아니라 하나님이 부여하신 목적과 소명아래 하나님의 창조사역을 이루는 사명을 부여받았다. 구속사를 통하여 예수님의 관점을 볼 때 여성으로서의 사모는 예수님이 동등하게 대하셨고 그 안에서 자유와 회복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바울신학에서는 적어도 바울과 함께 여성들은 주체성을 가지고 동반자적인 관계 안에서의 여성의 역할과 사람을 세우는 역할들을 수행하였다. 기독교 교육적 배경에서는 사모 기독교교육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방법을 다룸으로 사모들의 필요(need)를 채우는 교육프로그램 설계를 하였다. 사모의 자리매김 혹은 좀 더 폭 넓게 말하자면, 여성이 동역자로 혹은 지도자로서 그 위치를 크게 혹은 적게 차지하는 것은 성경의 어떤 특정한 구절에 대해 당시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해석이나 경향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경향은 교회의 제도화 즉, 주변문화, 교회의 업무에 영향을 미치는 지도자 신학에 좌우된다. 따라서 사모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았으며, 하나님으로부터 받은 고유한 목적과 소명이 있다는 사실은 사모가 교회 안에서 어떤 입장과 위치에 있어야 하는 존재인지, 어떤 사역을 어떻게 감당해야 할지에 대해 정확한 배경을 갖게 된다. 둘째, Ⅲ장에서는 사모교육 실태 즉, 사모의 역할과 그에 따른 교육기대를 조사하기 위하여 3가지의 조사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설문지를 통한 실태조사였다. 본 연구자는 사모들의 교회현장에서의 사모역할과 사모교육기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하였고, 설문조사대상은 각 교단을 막론한 사모들 245명을 조사대상으로 삼아 실시하였다. 또한 실제 사례연구를 하였다. 사모의 역할과 교육기대를 좀 더 심층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교단에 관계없이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교역하는 전도사, 부목사 그리고 담임 목사의 사모 50여명을 표집하여 인터뷰의 방식으로 심층 면접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모교육프로그램을 조사 연구하였다. 이것은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되었는데, 세미나 형태와 사모대학프로그램이다. 위의 세 가지의 조사연구방법들을 통하여 본 연구자가 발견한 사모교육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교회 교역자 사모들은 누구나 자신의 위치와 존재에 대해 정체성 즉 자리매김이 당면한 문제임을 드러내었다. 둘째, 사모역할에 대한 정확한 규정이 없음과 역할 수행에 대한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한 불안과 초조를 설문지를 통하여 대부분의 사모들이 호소하였다. 사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 사모의 48.8%는 많이 느낀다로 응답하였고, 39.4%는 아주 많이 느낀다고 응답하였고, 92.1%의 응답자가 사모교육이 사모역할 수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셋째, 실태 조사에 따르면 사모들은 대부분 사모 교육을 받기를 원하였다. 그리고 보다 체계적이고 연계성 있는 교육과 전문적인 교육을 요구하였다. 셋째, 사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실태조사결과에 기인하여 세워진 사모교육의 목적은 사모들의 정체성의 확고함, 사모역할의 규정 즉, 교회의 여성 성도들을 세우는 영향력 있는 지도자로서의 사모 상을 정립하고 더 나아가 사모역할을 교회공동체 안에서 잘 수행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따라서 교육의 내용은 크게 3가지로 자아정체성, 공동체성 그리고 리더십이다. 사모를 위한 일반 교육과정으로는 사모예비교육, 사모정규교육 그리고 사모계속교육이다. 또한 특별교육으로 사모 사계절 세미나와 사모 네트웍 사역을 제시하였다. 사모예비교육은 목사가 되기 전 단계 사모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자아정체성을 주요 교육내용으로 하며, 하나님 안에서 ‘나’를 발견하고, 여성으로서의 ‘나’를 세우도록 설계하였다. 기독교 덕목과 가치들을 통한 사모의 자질을 알고 배움으로 예방적 차원의 교육과 더 나아가 하나님 안에서 주체성을 가진 존재로서 자기훈련과 개발의 기초가 되게 하였다. 특히, 예비교육은 담임 목사 사모가 되기 전 자신의 점검하고 발견하며, 하나님 안에서 자신의 독특한 모습을 이해하고 용납하여 건강한 자아상을 가짐으로 사모역할 수행을 준비하는 과정으로 설계하였다. 사모정규교육은 목사 사모들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의 목표는 공동체성을 함양함으로 ‘교감하는 리더’가 되는 하는 것이다. 공동체성을 교육의 주요내용으로 하며, 사모의 역할을 배우고, 그 역할을 목적론적이고 책임 있는 존재로 수행하도록 하였다. ‘관계성’을 기초로 하는 의사소통 및 갈등해결, 경청 등을 통하여 문제해결 능력을 배양하고, 교감하는 리더인 멘토와 코치가 되게 하는 것이다. 기간은 1년 2학기제이다. 사모계속교육은 예비교육과 정규교육 과정을 받은 사모가 그 대상이다. 사람을 세우는 사모가 교육의 목표이다. 그 기간은 1년 2학기의 과정으로 설계하였다. 사모 계속과정은 사모가 끊임없는 변화와 성장을 촉구하도록 하며,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새롭게 돌아보도록 하고, 교회 안에서 여성 성도들을 세우는 영향력 있는 지도자로 사랑, 섬김과 나눔의 실천적 지도자상을 갖게 한다. 사모(四)계절 세미나는 한 해에 4번인 봄,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에 실시한다. 사모들의 영성훈련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 신앙의 내적여정을 다루었다. 각기 계절별로 독특성을 가진 세미나이다. 봄 세미나의 주제는 영성과 자아발견으로서 ‘자신의 성격유형을 찾아서’이다. 여름 세미나의 주제는 영적훈련의 길이며 ‘자신의 관계유형을 찾아서’이다. 가을 세미나의 주제는 광야와 성숙으로서 ‘부정적인 자아상에서 벗어나기’이다. 자신 속에 있는 부정적인 요소를 찾아보고, 그리스도가 주신 자유와 회복의 법을 배운다. 겨울 세미나의 주제는 깊은 영성체험하기로서 ‘깊은 영성을 체험하기’의 단계이다. 삶의 현장에서 자신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살아갈 길을 모색하며, 자기 개발을 넘어 하나님의 목적과 소명을 알고 이해하며, 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사모 네트웍 사역은 다른 말로 ‘사모 멘토링제’ 혹은 ‘후견인제도’라 부른다. 즉 사모들이 서로 함께 성장과 변화로 향해 나아가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자는 논문을 통하여 교역자 사모들의 실태를 조사 연구하였다. 그들 속에 지금까지 드러나지 않았던 다양한 교육의 필요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적어도 사모교육이 사모역할을 잘 수행 할 수 있도록 준비되는데 도움이 된다는 교육기대를 발견할 수 있었다. 사모가 살아야 교회가 산다는 말은 무성하지만 정작 사모들을 위한 교육이 부재하다. 사모들을 위한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사모가 사람을 세우는 역할을 감당한다면 적어도 사모 개인 뿐 아니라 교회가 건강하고, 지속적으로 변화하는데 일조를 할 수 있다고 본다. 더불어 본 연구자는 사모가 남편 교역자의 ‘동역자’로 혹은 ‘지도자’로 사역하는데 있어서 한국교회 구조가 ‘하루아침에 변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현대교회에서 사모가 남편과 동역자의 입장에 서 있는 경우도 있지만, 사실 극히 드물다. 교인들에게 ‘인정받기’란 좀처럼 힘들뿐 아니라 사모에 대한 성도들의 ‘저항’ 역시 만만치가 않다. 설문조사를 통해 볼 때 사모들 자신조차도 자신의 위치와 책임이 너무나 부담스럽다고 밝히고 있으며, 책임과 부담은 크나 자신의 능력을 펼칠 길이 없어 정체성 혼란에 빠진다고 대답하였다. 본 논문에서 앞서 제기한 문제의식들은 여전히 그리고 계속해서 존재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그러나 적어도 사모 자신, 남편 교역자 그리고 성도들의 의식을 전환하는데 기여함으로 교회를 통한 ‘하나님의 목적’을 이루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실제 현장 속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됨으로 ‘새롭게 쓰이는 사모’들이 세워지는 기대가 우려하는 부분 보다는 더 크다는 것을 밝힌다. 따라서 한국교회의 인식변화와 사모들의 계속적인 성장과 변화를 추구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다음의 몇 가지를 제언한다. 첫째, 인식전환이 요청된다. 먼저는 사모들 자신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자신을 하나님 앞에서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존재로 받아들이며 자신에게 주신 소명과 목적이 있음을 밝히 아는 것이다. 아는 것 뿐 만 아니라 자신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훈련하는데 진력을 다 하여야 한다. 또한 남편 교역자의 인식전환이 요구된다. 목회는 교역자 한 사람의 전유물이 아닌, 사모를 동역자로 받아들이며, 교회 안에 존재하는 70%이상의 여성 성도들을 위한 지도자로 인정하며 세우는 일이 요구된다. 실제 사례 연구 중 사모들의 접견을 통하여 조사한 바에 의하면 남편교역자의 ‘변하지 않는 인식’문제로 고민하는 사모들이 많았다. 즉, 시대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고, 사모에 대한 교회의 요청과 기대 역시 늘어만 가지만, 정작 남편인 교역자는 가부장적인 통념 하에 사모를 자신의 그림자처럼, 혹은 잠잠하게 있기를 원한다. 더불어 교인들의 인식전환이 시급하다. 교인들이 가진 남성위주의 교회구조 속에서 사모들을 자유하게 해야 한다. 사모도 한 인간이며, 여성이라는 것과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이제 더 이상 사모를 목회의 보조자로 남겨 둘 것이 아니라, 교역자 사모도 어엿한 목회의 동역자요 지도자임을 인정하고 자기개발의 기회를 부여하고, 사모 역할에 대한 의미를 부여해 주는 등 다 각도의 인식 전환이 절실하다. 둘째, 교단차원에서의 교육이 요청된다. 교단차원에서 교육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무료나 혹은 저렴하게 사모교육을 시행하기를 바란다. 단. 장기적인 탄력성 있는 교육프로그램 설계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정한 교육기간을 이수하였을 때 교단 차원의 자격증이나 혹은 학위를 주는 과정의 개설이 필요하다. 셋째, 사모들의 교육경비를 교단 및 개 교회차원에서 지원하여야 한다. 실제 사례 연구를 통하여 볼 때 사모들이 교육을 받고자 할 때 가장 방해가 되는 것은 경제적 문제였다. 설문조사에서도 또한 사모들이 교육을 받고자 할 때 가장 방해가 되는 것은 ‘경제적인 부담’이라고 응답자의 다수가 답하였다. 네째. 교단 신학교의 정규 커리큘럼으로 정착되어야 한다. 미국의 리폼드 신학교(Reformd Theological Seminary)에서는 ‘Mrs. in Ministry'라는 사모들을 위한 교육이 3년 과정으로 개설되어 있다. 이 과정은 주로 교회사역의 주요 영역을 배우는 실질적인 과정으로 시행되며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자가 속한 대한 예수교 장로회 합동 측 교단 신학교인 총회신학 대학원에서는 사모 교육과정을 정규 과정으로 개설하여 시행하여야한다. 사모 예비과정, 정규과정, 재교육 및 전문 영역 개발 교육에 이르기까지 보다 체계적이며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사모에 관한 저술의 문제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사모에 관한 서적들은 매우 빈약하다. 이론적 근거나 원리 보다는 거의 방법론을 다루는 책들이 많다. 사모에 대한 총체적인 이론을 담고 있어야 할 ‘사모 학'마저도 그러하다. 현재 한국에 나와 있는 서적들은 시대에 따라 저자의 성에 따라 각기 다르다. 과거 70-80년대에는 사모들에게 요구했던 ’목회자에 대한 순종‘, ’가정에서의 목회자의 뒷바라지‘들이다. 또한 21세기 정보화사회 속에서 사모들에게 다양한 요구들이 전제되는 만큼 목회 세계를 이해하고 함께 하는 동역자로 혹은 하나님 나라의 사역자로 의 접근이 필요하다. 개개인의 체험은 다른 사모들에게 간접 경험과 문제 해결에 대한 통찰력을 준다. 그러나 원리를 아는 것은 더 어떤 것보다 중요하다. 사모교육의 근거는 적어도 신학적이고 기독교교육학적인 토대 위에 세워지지 않는 한 사모들의 자리에 대한 중요성과 의미를 알기는 힘들다. 성경적이며 신학적으로 세워진 원리와 개념들이야말로 사모들에게 현재 삶에 대한 보람과 행복을 주며, 미래를 위한 지속적인 성장과 변화를 추구할 수 있다. 따라서 교단차원에서 신학적이고 교육학적인 관점에서의 저서들이 출판되어야 한다. 여섯째, 사모들의 쉼과 회복을 위한 영성 수련원의 설립이 시급하다. 사모들은 그야말로 그 누구와도 쉽게 대화를 할 수 없는 존재들이다. 그러기에 사모들의 대화의 창구인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하여 사모 네트웍 사역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교회와 가정을 잠시 벗어나 같은 사모들끼리 차 한 잔을 마시며 자신의 속내를 내어 놓고 이야기하며, 영. 육이 탈진되어 지친 영혼과 육체의 쉼과 회복을 위한 사모수련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제 연구자에게 남은 과제는 이 논문이 사모들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현장인 ‘하나님의 교회’에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개인과 공동체를 세우시는 하나님의 목적과 비전에 사모들이 역동적으로 사용되길 바란다. 또한 사모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들을 시행할 교육센터와 영성수련원의 건립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이후 연구의 과제는 사모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 관한 연구들이 요구된다. 사모들이 겪는 현실적인 문제들 즉, 사모와 정신건강, 사모와 교회 부흥 및 사모와 자녀 교육과 같은 분야들이다. 특히, 교역자 자녀(P.K)에 대한 연구는 상담적인 접근 뿐 아니라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교육과정의 설계는 한국교회 교역자 가정에 큰 공헌이 될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some research on the study of developing a program for pastors' wives in Korean churches. These was based on researching actual cases and studies on the situation. Moreover I wanted to help them gain their identities and their role as the partner of the pastor in their church community. In chapter one, I discussed on the need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Most Korean churches have provided pastors with many programs and seminars. But there have been fewer programs for pastors' wives who also take a very important part in the churches. Traditionally Korean churches have been affected by confucianism;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in finding places and jobs in the churches as pastor's wives. For these reasons, I want to discuss three things in this chapter First, why are they defined as pastors' wive in the church? Secondly, what should they do and what are the boundaries of their job? Thirdly, what kind of education do they need for their position in the church? In chapter two, I dealt with their identities and position as pastors' wives. In Biblical background, I looked into three aspects as a human being, a women and pastor's wives. In chapter three, I carried out research on the educational situation which are still practiced in Korean churches. This research had the motivation for the need of education for pastors' wives. The three methods of research were used. First, through the questionaires which were distributed to 150 pastors' wives and 95 pastors wives who were taking the course of consultants in ACTS. Second, through some interviewing to 50 pastors wives in the areas of Seoul and Kyung - kee province. Third, through attending the programs for pastors' wiv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 came to know that many Korean pastors wives don't know their identities and position well. Most churches even ignore the importance of their role as pastors' wives. These pastors' wives were not knowing exactly what they should do in the church and desperately in need of some programs and seminars. In chapter Four, I introduced a program that gave them a role in the church which helps church members grow in faith. The content of this program consisted three parts; first part on self-identification, second part on leadership in church community, third part 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preeducation of pastors wives, regular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and conference type education-seasonal program and on line net work program. In addition to these, being a mentor to each other will also benefit this program. Conclusion and suggestion In my opinion, Korean pastors' wives have had more pressure and difficulty than pastors' wives in other country in church. This is due the situation of Korean churches' having man - pastor centered structure. So it is not easy for pastors' wives to find their roles in church. Many people agreed that the contribution of pastor's wife influences the church growth. But in reality, no place was given to them to work in the church. These big influence in the work of a pastor in church were wife, the atmosphere of the church and church itself. Many scholars who studied on the growth of the church emphasized that a church grow by the effect of pastor's wife. My personal motivation to look into this subject is why I am pastor' wife, too. I had to face difficulties resulted from church conflicts weather I want to or not. I automatically had to go through these problems together with my husband, pastor and my church. It is essential that a pastor's wife should help to disorder all difficult circumstance caused by the church conflicts. The study to help and encourage them by makeup their situation better with full understanding of their role in the church. With their identity as pastor's wives, they had to be confidential in their job in all circumstance in order to bring growth in their church. To avoid sighing, grumbling resulted by overwhelming circumstance, they need guidance. So that they can work joyfully as pastor's wife. If not, they well get confused about their roles and the concept of their position as a pastor's wife in church. If this happens, they will be left as pastor's assistant or church members. They can't use their talent for His kingdom and well be lost to the church. Their precious talents given by God will be buried in the ground. This is because they are not given a chance or a place to use their talent. Worst of all church members will have to heap a lot of responsibility and pressure in their heart. I have pity on them for so many reasons. This has motivated me to study on this subject as I personally experienced and went through all the same situation as pastor's wife. My suggestion for the improvement on the situation which pastors wives face are. First, Korean churches have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n their role as pastor's wives. Second, church head quarter have to support and provide education for them on the regular basis. Third, theological seminary has to have the curriculum for the pastors' wives as one of subjects. For example,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in U. S. A has the subject in its curriculum which is called ' Mrs. in Ministry' which is for pastor's wife. Fourth, books which can provide for easy application in reality for them. Especially the books which have some basic principles and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job and role are desperately needed. A book to buildup their self -confidence as pastor's wives are also needed. Fifth, an allocated place relaxation and education for them. as they are easily exhausted in spirit and in physical with church work. They can relax in here and be encouraged through sharing their stories with other pastor's' wives. They can't open their heart in the church because too many people are watching them . They are only human like all of us. They need some place to recharge in spirit and in body.

more

목차

목차 = ⅰ
國文抄錄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용어의 정의 = 5
C.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8
D. 연구의 제한성 = 10
Ⅱ. 사모의 이론적 배경 = 11
A. 신학적 배경 = 11
1. 창조 신학을 통하여 본 인간으로서의 사모 = 13
2. 구속사를 통하여 본 여성으로서의 사모 = 23
3. 개혁주의 신학을 통하여 본 돕는 베필로서의 사모 = 26
4. 바울신학에서 본 동역자로서의 사모 = 33
5. 요약 = 38
B. 인물적 배경 = 39
1. 구약 시대의 사모 = 39
2. 신약 시대의 교역자 사모 = 45
3. 역사 속에서의 사모 = 53
C. 기독교교육학적 배경 = 58
1. 사모 기독교교육의 목적 = 58
2. 사모 기독교교육의 내용 = 61
3. 사모 기독교교육의 방법 = 64
4. 요약 = 67
Ⅲ. 사모교육에 관한 실태조사 = 69
A. 조사연구방법 = 69
1. 조사대상 = 69
2. 조사도구 = 69
3. 조사절차 = 71
4. 조사처리 및 분석 = 72
B. 조사연구의 결과 및 해석 = 73
1. 설문조사연구 = 73
2. 실제 사례 조사연구 = 89
3. 프로그램 분석 연구 = 94
C. 사모교육 실태 결과 = 100
1. 실태분석 = 100
2. 사례연구 분석 = 101
3. 기존프로그램 분석 = 103
4. 사모교육 실태 분석에 따른 대안 = 106
5. 요약 = 108
Ⅳ. 사모교육프로그램의 설계 = 110
A. 사모교육의 교육 목표 및 내용 = 100
1. 사모교육의 목적 = 100
2. 사모교육의 구성 및 교육과정 = 111
3. 사모교육의 내용 = 112
B. 사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 115
1. 사모예비교육 = 115
2. 사모정규교육 = 137
3. 사모계속교육 = 179
4. 사모 사 계절 미나 = 201
5. 사모네트웍사역 = 206
6. 요약 = 208
Ⅴ. 결론 = 211
A. 요약 및 결론 = 211
B. 제언 = 216
참고문헌 = 222
Abstract = 235
부록(appendix) 설문지 = 23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