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스트레스, 소진, 수면 및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Nurses’ Stress, Burnout, Sleep and Happines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스트레스, 소진, 수면 및 행복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D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최근 한달 이내에 가족의 사망과 같은 극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된 적이 없으며,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프로그램 참여에 동의한 자로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각 15명씩이었으며, 총 3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2월부터 3월까지 진행되었고, 프로그램의 적용은 주 2회(50분/1회) 5주간 시행되었다. 실험처치 전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실험군에게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중재한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간호사의 스트레스는 Ko 등이 개발한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소진은 MBI-HSS (Maslach Burnout Inventory-Human Service Scale) 한국어 버전을 사용하였다. 수면은 수면의 질 지수 척도 (PSQ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를 Shon 등이 한국어로 번안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PSQI-K를 사용하였다. 행복감은 Hills와 Argyle이 개발한 옥스포드 행복척도 (OHQ;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aire)를 Choi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고, 두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로 하였다. 종속변수의 사전동질성 검증은 정규성 검증 여부에 따라 t-test,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은 사전동질성 확보 여부에 따라 t-test, ANCOVA, Ranked ANCOVA로 분석하였다.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α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실험군은 -14.33(±23.48)이었고, 대조군은 4.80(±12.46)으로 실험군의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지지되었다(t=-2.788, p=.011). 2)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스트레스 하위항목 긴장, 공격성, 신체화, 분노, 우울, 피로, 좌절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는 분노영역에서 실험군이 -2.87(±4,85)이었고, 대조군은 0.47(±2,64)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 하였고(t=-2.336,p=.029), 우울은 실험군 -2.67(±4.85), 대조군은 1.27 (±2.92)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t=-2.692, p=.012), 좌절은 실험군이 -4.00(±5.20), 대조군은 1.13(±3.44)으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3.190, p=.003). 긴장, 공격성, 신체화, 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3)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소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실험군이 -10.07(±14.66)이었고, 대조군은 1.33(±10.75)으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 하여 지지되었다(t=-2.430, p=.022). 4)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소진의 하위항목 정서적 소진, 자아성취감, 비인간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정서적 소진은 실험군이 -5.20(±9.15), 대조군은 2.07 (±5.90)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t=-2.585, p=.015), 자아 성취감, 비인간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어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5)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수면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 6)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수면의 하위항목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잠복, 수면시간, 수면효율, 수면방해, 수면제 복용, 주간활동 장애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 7)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은 행복감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어 기각되었다. 이와 같이 간호사를 대상으로 5주간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분노, 우울, 좌절의 스트레스 반응과 정서적 소진이 유의 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의 적용 으로 간호사들이 일상생활 및 직무관련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소진을 예방하고 임상 현장에 남아 간호경력을 유지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s a quasi- 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MBSR) on stress, burnout, sleep and happiness in nurses. The nurses who work in University Hospital, have not experienced severe stress such as death of a family member within a month before the stud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voluntariliy gave their consent to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The data of a total of 30 subjects (1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15 in the control group) were analyzed. The study period was February to March 2017. The MBSR was performed twice a week (one for 50 minutes) for 5 weeks. A pre-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experiment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experiment.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developed by Ko, et al. was used to measure stress of nurses. The Korean-version Maslach Burnout Inventory -Human Service Scale (MBI-HSS) was used to assess burnout. To measure sleep, the PSQI- K,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made by Shon, et al. was used. Shon, et al. have tested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SQI to develop the PSQI-K. The Happiness Questionaire (QHQ) developed by Hills and Argyle and adapted by Choi was used to measure happi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 22.0 program.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real number,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To test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were used. For the homogeneity verification of dependent variables, the normality test was utilized and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were used. The verification of hypotheses were analyzed using t-test, ANCOVA, and Ranked ANCOVA depending on the acheivement of homogeneity. The reliability of scales was assessemd with Chronbach’s α. The results of hypothesi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1)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stress score changes between the expre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MBSR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MBSR” was supported by the result that experimental group (-14.33±23.48)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4.80±12.46) (t=-2.788, p=.011). 2)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change in scores of stress subscales, such as tension, aggression, somatization, anger, depression, fatigue, and frustration, between the expre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MBSR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MBSR” was partially supported. The change in anger beween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expremental group, -2.87±4,85; the control group, 0.47±2,64) (t=-2.336, p=.02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repression between the expremental group (-2.67±4.9) and the control group (1.27±4.9) (t=-2.692, p=.012). Frus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remental group (-4.00±5.20) than control group (1.13±3.44) (t=-3.190, p=.003). Tension, aggression, somatization, and fatigu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3)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burnout score changes between the expre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MBSR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MBSR” was supported by the result that experimental group(-10.07±14.66)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1.33±10.75) (t=-2.430, p=.022). 4)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change in scores of burnout subscales, such as emotional exhaustion,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ation, between the expre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MBSR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MBSR” was partially supported. Emotional exhaus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remental group (-5.20±9.1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07±5.90) (t=-2.585, p=.015). Personal accomplishment and depersonaliz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5)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sleep score changes between the expre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MBSR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MBSR” was rejected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6)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change in scores of sleep subscales, such as sleep quality, sleep latency, sleep duration, sleep effect, sleep interrupt, use of sleep medication, and daytime disturbance, between the expre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MBSR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MBSR” was rejected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7)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happiness score changes between the expremental group treated with the MBSR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the MBSR” was rejected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described above, the nurses who participated in the 5-week MBSR program experienced significant decreases in stress responses, such as anger, drepression and frustration, and emotional exhau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MBSR program will help nurses effectively manage their daily lives and job-related stress, thus helping them prevent burnout in their workplaces and continue their clinical careers.

more

목차

국문 요지 = ⅰ
표 차례 = ⅶ
그림 차례 = ⅷ
부록 차례 = ⅸ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 목적 = 5
3. 연구 가설 = 6
4. 용어의 정의 = 7
Ⅱ. 문헌 고찰 = 10
1. 스트레스 = 10
2. 소진 = 13
3. 수면 = 15
4. 행복감 = 17
5.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 = 18
Ⅲ. 연구의 이론적 틀 = 24
Ⅳ. 연구 방법 = 28
1. 연구 설계 = 28
2. 연구대상 및 기간 = 28
3. 연구 도구 = 31
4. 실험처치: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 = 35
5. 연구진행 절차 = 37
6. 윤리적 고려 = 42
7. 자료분석 방법 = 42
Ⅴ. 연구 결과 = 44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 = 44
2. 대상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동질성 검정 = 47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 = 49
4. 가설 검증 = 52
Ⅵ. 논의 = 66
1.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 66
2. 단축형 마음챙김 명상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 = 76
3. 간호학적 적용과 의의 = 78
Ⅶ. 결론 및 제언 = 80
참고 문헌 = 85
부록 = 100
ABSTRACT = 11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