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상 시청에 따른 안구운동 경향 분석

Analysis of eye movement trend induced by video viewing

초록/요약

영상의 특성이 안구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재생시간이 30분인 4개의 영상물을 64명에게 시청하도록 하고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눈깜박임 횟수, 동공직경, 주시 횟수 및 홱보기 횟수를 측정하였다. 피사체 움직임의 정도가 서로 다른 2개의 영상물(액션 및 토론)을 고화질 및 표준화질로 각각 제작하였으며, 비트레이트를 사용하여 영상물에서 피사체의 상대적 움직임 및 화질의 차이를 구분하였다. 액션 영상이 토론 영상보다 동공직경이 더 컸으며, 눈깜박임 횟수는 더 적었고, 주시 횟수와 홱보기 횟수는 더 많았으며,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하지만 화질에 따른 안구 움직임은 차이가 없었다. 액션 영상과 토론 영상 모두 비트레이트가 증가할수록 눈깜박임이 감소하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p<0.05). 액션 영상에서 비트레이트가 증가할수록 주시 횟수와 홱보기 횟수는 감소하였으나, 토론 영상에서는 비트레이트가 증가할수록 주시 횟수와 홱보기 횟수가 증가하였다(p<0.05). 액션 영상과 토론영상 모두 장면전환이 많을수록 비트레이트가 높았고, 자막출현이 많을수록 주시와 홱보기 횟수가 증가하였다(p<0.05). 이상으로 비트레이트를 사용하여 영상의 특성(주제, 화질, 피사체의 상대적인 움직임 비율, 장면전환이나 자막출현 등)을 정량적으로 구분하고, 영상의 특성이 안구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more

초록/요약

To analyze the effect of video characteristics on eye movements, four video with a playback time of 30 minutes were viewed by 64 subjects and the counts of eye blinking, fixation, saccadic, and pupil diameter was investigated by using the eye movement tracking device(eyetracker), respectively. Two different videos (action and discussion) of moving objects were produced with high and standard definition, respectively, and the bitrate was used to distinguish the relative moving object and the image quality difference in the video. The pupil diameter of during watching action video was larger than that of the discussion video. The number of eye blinking was smaller, and the number of fixation and saccadic were large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und(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ye movement according to the image quality. Both the action and discussion video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creasing eye blinking with increasing the bitrate(p<0.05). As the bitrate of the action video increased, the number of fixation and saccadic were decreased. However, as the bitrate of discussion video was increased, the number of fixation and saccadic were increased (p<0.05). Both of the action and discussion videos, the bitrate was higher with more scene changes, and as the more frequently the caption appeared, the greater the frequency of fixation and saccadic counts(p<0.05). Finally, we used the bitrate to quantitatively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ubject, image quality, relative motion ratio of the subjects, scene change or caption appearance), and analyze the effect of image characteristics on eye movements factors.

more

목차

국문요지 = ⅰ
차례 = ⅱ
List of Tables = ⅳ
List of Figures = ⅴ
제1장 서론 = 1
제2장 연구 방법 = 4
1. 연구대상 = 4
2. 영상물 시청조건 = 4
3. 디스플레이 및 영상물 = 4
4. 안구 움직임의 측정 = 7
5. 통계분석 = 8
제3장 연구 결과 = 9
1. 영상물 간 비트레이트 비교 = 9
2. 안구 움직임 변수 측정 = 11
2.1. 시청시간 별 동공직경 변화 = 14
2.2. 시청시간 별 눈깜박임 횟수 변화 = 17
2.3. 시청시간 별 주시 횟수 변화 = 18
2.4. 시청시간 별 홱보기 횟수 변화 = 19
3. 영상의 특성과 안구운동의 상관성 = 20
3.1. 비트레이트와 안구운동의 상관성 = 20
3.2. 장면전환 횟수와 안구운동의 상관성 = 23
3.3. 자막출현 횟수와 안구운동의 상관성 = 27
제4장 고찰 = 30
제5장 결론 = 34
참고 문헌 36
ABSTRACT 3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