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일탈(逸脫)에서 일상(日常)으로 : 사이버 공간의 대리자아인 아바타 행동별 유형분석

From Deviance To Normality : Avatars as Proxy of Self in Cyberspace

초록/요약

사이버 공간에서 사용자를 대신(代身)하는 캐릭터인 아바타가 정보기술 (IT)산업의 발전으로 평면적인 캐릭터에서 입체적인 캐릭터로, 정적인 캐릭터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추구하는 캐릭터로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이 논문은 사이버상에서 행동을 개시한 아바타로부터 행동별 유형을 추출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8개의 아바타를 선별, Q방법론을 적용해 캐릭터와 배경에 대한 분석을 각각 시도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세 가지 유형의 아바타 캐릭터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현실적 희망 추구형으로, 이 유형의 사람들은 아바타를 통해 자신의 일상을 드러내거나, 혹은 일상에서 실현가능한 희망을 표현했다. 두 번째 유형은 커뮤니티 지향형으로, 독자적인 행동이나 개성을 추구하기 보다는 커플, 혹은 단체와의 공동행동을 지향했다. 세 번째 유형은 규범 준수형으로, 일탈적이고 엽기적인 생활양식을 지양하고 전형적인 스타일이나 아름답고 선한 가치를 추구하는 유형이었다. 배경에 대한 분석 결과 역시 세 가지 유형을 나타냈는데, 첫 번째 유형은 물질적인 안락함과 화려함 고급스러움의 가치를 지향하는 물질추구 유형이었고, 두 번째 유형은 인공에 대비되는 대자연과 야외활동의 배경을 선호한 자연추구 유형이었다. 세 번째 유형은 비현실성을 배제한 구체적 장소를 추구하는 유형으로, 환상적인 배경과 대비를 이루었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아바타가 환상속의 욕구를 대리충족 시켜주는 비현실적 존재로부터 현실적인 존재로 점차 진화해 가상공간과 현실 사이를 잇고 그 둘 간의 거리를 좁히는 매개인 혹은 조력자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용과 충족의 관점에서 이 같은 진화의 방향은 네티즌들이 희망해 온 사이버 정체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more

초록/요약

This exploratory Q study about avatar characters in cyberspace yielded three types: Near future dream seekers, Community involvement seekers, and Norm conformers. For avatar background, three types were also identified: Materialistic abundance seekers, Nature seekers, Real life background seekers. The implication of these six types could be found in their common ground in sharing basic assumption of reality which avatar users pursue through their cyber body. The concept of 'self as portrayed in avatar characters came to represent the active construction of identity. As such, avatars were found to be evolving from anonymity to transparency, from ideal self to realistic self, and from pursuing false to real hope. As a catalyst between real space and cyber space, avatars are believed to function as a liaison between the two worlds. It is thus argued that avatars contribute to fostering the sense of genuine self by whom the proxy of self is actively constructed.

more

목차

들어가며
아바타의 의미와 특성
아바타 산업의 연혁과 현황
연구 문헌 검토
이용과 충족 이론
사이버 정체성과 자아의 개념
연구방법
1) Q표본
2) P표본
3) Q분류
4) 자료의 정리 및 분석
분석결과
1) 아바타 캐릭터 Q요인의 구조
2) 아바타 배경의 Q요인 구조
논의
참고문헌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