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The Impact of Self-Help Groups on Poverty Reduction among Rural Women in Tanzania : A Case of VICOBA

초록/요약

It is estimated that majority of Tanzanian women (60%) live in an absolute poverty especially those who resides in rural areas where poverty is higher than in urban. Their poverty is attribut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low education or illiteracy, early marriages, limited access to physical and financial resources and unemployment (not having decent jobs). VICOBA as a SHG model is widely distributed and accessed by the majority in both urban and rural settings of Tanzania. In 2009, 19 out of 25 regions were already reached by this model of SHG.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how rural women’s participation in Self Help Groups (SHGs) and access to the microcredit has influenced their condition and hence poverty reduction. Therefore the study sought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SHGs participation and poverty reduction in Tanzania by using one of the famous SHG called Village Community Banks (VICOBA) as a case study. This thesis argues that, although women’s participation in the self help groups in Tanzania contributes to income changes and assets ownership, SHGs in Tanzania are not an effective remedy for poverty reduction especially in rural areas; as the change is very slow and minimal hence it plays a limited role on women’s conditions and are constrained by structure and system that prevents other women to joi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otally based on primary data which was collected by face to face interview from a total of 60 rural women respondents. 30 respondents were those who are members and 30 were non-members of SHGs in Mbozi District, Tanzania. This study employed qualitative approach in data interpretation and found that SHG has an impact on changes of participants’ income and increased access to assets ownership. Nevertheless the changes are small and slow with time of participation in SHG, and some participants had not even owned new assets since they joined SHG. Significant percentage of respondents had an income changes still below the poverty line even after joining SHGs. Lack of outside financing and skill training such as business/entrepreneurship by these groups hamper the success of poverty reduction proces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found that VICOBA members of some groups in Mbozi district are challenged by delays in loan repayment; other challenges include small amount of loans, lack of secured cash keeping, as well as lack of trust among leaders. Likewise, the findings showed that, non-participants women were not interested in joining VICOBA because of two major reasons; one reason was lack of trust among members and leaders of VICOBA. For instance there were some women with monthly earnings and the ability to pay for weekly mandatory subscription but they did not join VICOBA implying lack of trust. Another reason is for those with low income who could not afford to buy weekly shares which are mandatory to every member. This study recommends that, for VICOBA to be more effective in contributing to poverty reduction there is a need for the government to make them formal and recognize them legal as self help group model. This will help women members and those who wish to join secure their financial benefits and open an opportunity for donors and various aid agencies to finance VICOBA. Formal financial institutions in collaboration with NGOs are called to invest in SHG especially VICOBA and form a linkage that could help women to access more better loans and improve their income generating activities and hence their wellbeing. Communities are called to enhance trust among them for the sake of fighting against poverty within their localities and the nation at large.

more

초록/요약

도시보다 빈곤율이 높은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탄자니아의 대부분의 여성(60%)들은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의 빈곤은 낮은 교육율, 문맹, 조혼, 제한된 물질적 경제적 자원, 그리고 실업(적절한 직업을 갖지 못하는 등) 등 몇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자조 그룹 모델(SHG)로서 마을 공동체 은행(VICOBA)은 탄자니아의 도시와 농촌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대다수의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다. 2009년 현재 탄자니아 전체 25개 지역 중 19개 지역에 자조 그룹 모델(SHG)이 도입되어 있다. 본 논문은 농촌 여성들의 자조 그룹 모델의 참여와 소규모 창업 대출에 대한 접근성이 그들의 상태와 빈곤 감소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그 상관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마을 공동체 은행으로 불리는 자조 그룹 모델을 사례 연구로 사용함으로써 자조 그룹 참여와 빈곤의 감소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은 비록 탄자니아에서 여성들의 자조 그룹 참여가 여성들의 수입 변화와 자산 소유에 기여하지만 자조 그룹 모델이 탄자니아 농촌지역의 빈곤 감소의 효과적인 해결책은 아님을 밝힌다. 이는 자조 그룹 참여로 인한 변화가 아주 느리고 미미한 정도여서 여성들의 상태 변화에 제한적인 역할만을 할 뿐이며 다른 여성들의 참여가 구조적으로 제한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의 결과들은 60명의 농촌 거주 여성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한 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이 설문의 응답자들은 탄자니아 Mbozi 지역의 자조 그룹 참여 여성들과 비참여 여성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데이터 해석에 질적인 접근법을 사용했으며 여성들의 자조 그룹 참여가 참여 여성들의 소득 증대와 자산 소유에 영향을 끼쳤음을 발견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변화는 자조 그룹 참여 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고 작은 편이다. 그리고 몇몇 참가자들은 자조 그룹 참여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자산을 소유하고 있지 못하다. 반면 본 논문에서는 Mbozi 지역의 마을 공동체 은행의 몇몇 그룹에서 대출금 연체에 직면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곳의 여성들이 직면하고 있는 또 다른 문제점은 대출금액이 충분하지 못하고, 현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이 그룹을 이끄는 지도자들 간의 신뢰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논문에서는 자조 그룹 비참여 여성들의 마을 공동체 은행에 대한 무관심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된 이유 때문이다. 그 중 한가지는 멤버들간의 신뢰 부족과 마을 공동체 은행 지도자들에 대한 신뢰 부족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몇몇 여성들은 매달 수입이 있고 매주 구좌를 구매할 능력이 있지만 마을 공동체 은행에 대한 신뢰 부족으로 이것에 참여하고 있지 않다. 여성들의 참여가 저조한 또 다른 이유는 저소득 여성들의 경우 모든 구성원들에게 필수적인 주간 구좌를 구입할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마을 공동체 은행 모델이 보다 효과적으로 빈곤 감소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가 이들을 공적인 것으로 만들고, 자조 그룹 모델로써 이를 합법적인 것으로 인정해 줄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안전한 금융혜택에 참여하고 싶어하는 여성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조치는 마을 공동체 은행에 대한 기증자의 참여와 정부기관들의 재정 지원 기회를 열어 줄 것이다. 비정부기구(NGO)와 협업을 통한 공식 금융기관들이 마을 공동체 은행의 자조 그룹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고 여성들이 보다 나은 여건의 대출에 접근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여성들의 소득증대 활동과 이들의 복지를 개선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지역공동체는 지역적으로 또는 전국적으로 빈곤에 맞서 싸우기 위해 이들 간의 신뢰를 향상시킬 방법이 필요하다.

more

목차

I. INTRODUCTION 1
II. LITERATURE REVIEW 7
A.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Study 7
B. Defining Poverty 11
C. Women and Poverty 12
D. Self Help Groups: Conceptualization 14
E. Self Help Groups and Poverty Reduction 15
F. Factors Affecting Womens Choice to Join Self Help Groups 20
III. SELF HELP GROUPS IN TANZANIA 23
A. Country Background/Overview 23
B. Origin, Nature and Types of Self Help Groups in Tanzania 24
C. Village Community Banks: Concept and Nature 27
D. VICOBA Structure and Function 29
E. How VICOBA Project Initiated 30
IV. RESEARCH METHODOLOGY 31
A. Introduction of Study Area 31
B. Research Design 31
C. Study Population, Sampling and Sample Size 32
D. Limitation of the Study 33
V. FINDINGS AND ANALYSIS 35
A.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35
B. Impact of VICOBA on Womens Economic Status 37
C. Respondents Access to Outside Training 44
D. Challenges facing VICOBA members 46
E. Respondents Reasons for Non-Participation in VICOBA 47
F. The Most Determining Factor for Womens Choice to Join SHG/VICOBA 50
VI.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53
A. Conclusion 53
B. Recommendation 54
1. To the Government 54
2. To the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55
3. To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Donors 56
4. To the Community Development Officers 56
5. To the Community Members 57
BIBLIOGRAPHY 58
APPENDIX 1. Mbozi District Map with Study Ward 67
APPENDIX 2. Interview Guide for VICOBAs Women Members 68
APPENDIX 3. Interview Guide for Women Non-VICOBA Members 74
ABSTRACT (In Korean) 7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