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조형성을 응용한 패션디자인 연구 :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중심으로

Fashion Design Research on the Applications of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Formativeness : Focusing on the Appliqué Patchwork Technique

초록/요약

아프리카인들의 상상력과 관찰력이 동시에 작용한 결과로서 중요한 예술사적 지위를 갖는 콩고 지역의 전통가면은 해당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담은 조형적 가치를 드러내며 세계의 많은 예술가들에게 차별화된 영감을 안겨주었다. 현대의 패션 디자인 분야 역시도 아프리카 지역의 전통미술에 대한 관심과 응용의 경향이 뚜렷이 나타났었고, 앞으로도 꾸준하게 재해석이 시도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이미지를 패션 디자인 모티프로 활용하였다. 곡선적 표현, 단순화된 명도 단계별 면의 표현, 볼록하고 오목한 부조적 형태 등의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조형적 특징에 근거하여 2-3도의 색채로 단순화된 응용 모티프를 개발하였다. 또한 조형적 특징 중 부각되는 자연 지향의 재료, 질감과 색채, 형태 표현을 위해 다양한 가죽 소재를 활용한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패션 디자인에 적용하여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이미지에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접목하여 새로운 패션 디자인을 창출함으로써 독특한 소재 표현과 그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패션 디자인의 표현 영역을 확대하는데 있다. 이론적 고찰은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에 관한 자료 분석과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에 관한 자료 분석으로 나뉜다. 아프리카 미술, 특히 콩고의 전통가면을 중심으로 한 예술 문화서적, 선행연구논문, 각종 전자문헌 등을 수집하고 실제 콩고 전통가면의 이미지들을 수집하여 조형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아프리카 전통가면을 응용한 디자인 사례 역시 자료를 수집하여 참고하였다. 한편, 아프리카 전통가면을 평면으로 옮겨 표현하기에 가장 적합한 표현기법으로서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의 정의와 종류별 특징을 고찰하고 실제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자료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이미지를 새로운 모티브로 재구성하여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이용한 총 6벌의 의상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선·면·형태, 재질, 색채의 요소로 나누어 살펴본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조형적 특징은 각 요소별 특징을 뚜렷하게 갖는다. 즉 선·면·형태를 중심으로 추출한 조형적 특징은 곡선적 표현, 단순화된 명도 단계별 면의 표현, 볼록하고 오목한 부조적 형태 등으로 압축된다. 재질을 중심으로 추출한 조형적 특징은 자연으로부터 추출된 소재감, 특히 나무와 같은 재료, 흙, 조개와 같은 재료가 가장 눈에 띄어 그 표현 방식에 주목해야 했다. 색채를 중심으로 한 조형적 특징 역시도 자연으로부터 추출된 다양한 색조의 브라운, 블랙, 화이트가 주요 색채로 관찰되었고 이 안에서 2-3도의 배색 관계가 관찰되었다. 둘째,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조형적 특징을 패션 디자인에 응용하기 위해서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이 채택되었는데,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실제 제작 실험을 통해서 당초 의도했던 모티프 표현에 대한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특히 앞서 추출했던 모티프 원형이 갖는 조형적 특징 중 부각되는 자연 지향의 재료 성분, 질감과 색채, 형태 표현을 위하여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실현하는 재료를 천연가죽과 스웨이드, 천연 염색된 실크 등으로 제한하였고, 이를 통해 오랜 역사를 갖는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의 전통과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이 갖는 역사적 의의를 의미 있게 연결할 수 있었다. 셋째, 아플리케 패치워크 기법을 통해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조형성을 표현하고자 했던 시도는 전통가면의 조형적 특징을 대표하는 6종의 모티프로부터 시작되었는데, 실제 제작 과정 중 가면이 갖는 부조적 입체감을 단순화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다양한 질감과 색조의 가죽 소재를 활용하되, 원형 모티프가 갖는 입체면의 2-3도 단순화 과정에 근거한 배치가 본 연구의 주제 실현 및 의의를 실제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모티프에 어울리는 의상의 구성 및 실루엣 디자인 역시 전통가면의 조형적 특징에 근거한 재해석 과정을 필요로 했다. 기본적으로는 전통가면이 갖는 기원과 의미를 염두에 두면서도, 원형 모티프의 선·면·형태, 재질, 색채를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디자인을 의도하였다. 특히 선·면·형태의 측면에서는 모티프의 형태가 의상 전체 실루엣과 곡선적 유사성으로 조화를 이루는 쪽을 지향하였고, 간혹은 강조의 효과를 누리는 좌우 비대칭적 배치도 계획하였다. 재질과 색채의 측면에서는 대부분 유사성에 근거하여 통일과 조화의 원리 등을 유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이라고 하는 테마 표현에 있어서 결과적으로는 자연을 원천으로 한 재료의 선택이 두드러졌고, 이를 통해 재질과 색채의 분위기가 결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선택된 모티프 원형의 특성과도 연관되는데, 보다 다양한 스타일의 가면들을 발굴하여 시도한다면 재료와 색채에 있어 또 다른 시도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대표적 일부 자료를 대상으로 실험적 제작을 시도한 것이며, 아프리카 전통가면에 대한 다양한 세부 주제의 발굴 및 표현 기법 적용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준 작업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과정 및 결론을 통해, 아프리카 및 그 외 고유한 지역성을 탐색하는 다양한 주제 접근과 표현 기법 개발, 그리고 문화와 문화, 전통과 현대를 잇는 새로운 시도들을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Modern fashion has constantly improved methodologies related to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on techniques, in order to present differentiated aesthetic senses. Through such development process, the reinterpretation of an exotic culture provides a good opportunity to discover new fashion design themes and to develop expression techniques. African primitive art, which has been genuinely keeping its uniqueness, is recognized as a unique inspiration source for the overall art as well as the fashion design field of the Western civilized society since the 19th century. The study examined and analyz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rly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among African primitive art so that it could contribute to the discovery of expression techniques as a fashion design motif. The conclus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 theoretical research of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line, face, form, material and color showed that each element has distinctive featur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extracted in relation to line, face, and form, can be summarized into a curved expression, simplified expression of brightness level, and convex and concave sculpted shapes.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discovered mainly in terms of texture. Woody materials, soil, shells,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nature, stood out the most, therefore, these expression techniques received the most attention. In regards to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mainly of colors, it was clear that browns, blacks, and whites were the key colors, collected from the nature, and 2-3 hues of color arrangement relations could be seen. Second, the appliqué patchwork technique has been chosen in order to apply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formative characteristics to fashion design. It was possible to see the chance of an initially intended motif expression, through a theoretical research of the appliqué patchwork technique and practical production experiment. Expecially, in order to express the nature-oriented ingredients of the material, texture, color, and form, which stood out the most amo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otif's original form as described above, the materials utilized to realize the appliqué patchwork technique were limited to genuine leather, suede, and naturally dyed silk.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relate the appliqué patchwork technique with a long history to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in a meaningful way. Third, the attempt to express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formativeness through the appliqué patchwork technique began with 6 types of motives that represent the traditional masks'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process of simplifying the sculpted 3D effect during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was found to be extremely important. Making use of leather with various textures and colors yet arranging based on the 2-3-degree simplification process of a 3D structure from the motif in its original form will be able to practically support the subject realiz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Fourth, the composition and silhouette design of the clothing, that goes well with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s motif, also required a process of reinterpretation based on the traditional mask's formative characteristics. While fundamentally keeping the origin and significance of the traditional mask in mind, a design that can effectively show the line, face, texture, and color of the motif in its original form has been attempted. Especially, in regards to line, face, and form, it was aimed to harmonize the motif's formation and the overall silhouette of the clothing, with curving similarities. Sometimes, a left-right asymmetrical arrangement was also planned to enjoy the effectiveness of emphasis. In terms of texture and color, the principle of uniformity and harmony was induced, mostly based on similarities. Lastly, in regards to the theme expression called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 the choice of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nature was prominent consequentially. It can be said that the atmosphere of the texture and color has been determined through it. This is also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osen motif's original form, and other attempts in terms of materials and colors should be possible if more of different mask styles are discovered and tried. The study attempted an experimental production of key references of the African congo traditional mask. It proposed a possibility of the discovery of various detail subjects and the application of a new expression technique. With the process and conclusion of the study, a variety of other approaches to subjects and expression technique developments for investigating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frica or other regions, and ways to connect a culture to another culture and tradition to modernity, will hopefully be attempted.

more

목차

Ⅰ. 서론 1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B. 연구 방법 및 내용 2
Ⅱ. 이론적 배경 3
A.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에 관한 고찰 3
1. 전통가면의 기원과 형성 배경 3
2. 아프리카 콩고 전통가면의 조형적 특징 7
3. 아프리카 전통가면을 응용한 디자인 사례 20
B. 아플리케 패치워크에 관한 고찰 25
1. 아플리케 패치워크의 정의 25
2. 아플리케 패치워크의 종류와 특징 27
3. 아플리케 패치워크를 응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 32
Ⅲ. 작품제작 및 해설 36
A.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36
B. 작품 및 해설 40
Ⅳ. 결론 및 제언 93
참 고 문 헌 95
ABSTRACT 9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