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특수학급 교사의 교과지도 경험과 지원 요구에 관한 연구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on the Teaching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room Teachers

초록/요약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초등특수학급 교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초등특수학급 교사의 교과지도 경험과 교과지도 관련 지원 요구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초등특수학급 경력 교사 8명이었다. 심층면담 자료를 전사하고 개방 및 범주코딩과 지속적 비교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삼각검증, 연구 참여자 확인, 외부 감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자료 분석을 통해 4가지 주제와 22가지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4가지 주제로 교과내용 지도, 교과지도 방법, 교과지도의 어려움, 교과지도 관련 지원 요구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특수학급에서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과지도 관련 지원 요구로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표준화된 지침, 일반교육과정이 강조된 교원양성과정, 교과교육 중점 현직교육, 학습 방식 기술 포함 IEP 양식 개선, 대체활동 중심의 보조 지원 자료를 요구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특수학급에서의 교과지도 관련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on the teaching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room teacher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eight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room teacher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Through the coding process and constant comparative method, main themes and sub-themes were deriv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on this study, triangulation, member check, and external audits were used. Results: Four main themes and 22 sub-themes were emerged. The four main themes were the content of teaching subjects, the methods of teaching subjects,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subjects, and the support needs related to teaching subjects.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room teachers for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subjects were the standard guideline on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 classroom curriculum, pre-service education focused o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service focu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improvement of IEP forms including learning style,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cused on alternative activ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implications on teaching subject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in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room were discussed.

mo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절차
3. 자료 분석
4.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노력
Ⅲ. 연구 결과
1. 교과지도 내용
2. 교과지도 방법
3. 교과지도의 어려움
4. 교과지도 관련 지원 요구
Ⅳ. 논 의
참 고 문 헌
국문초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