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등학교 통합환경 경도장애학생의효과적 학교상담을 위한 협력의 촉진요인 탐색

Investigation of Factors Facilitating Collaboration for Effective School Counseling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Inclusive Middle and High Schools

초록/요약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등학교 통합환경의 경도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상담에서 핵심 주체인 특수교사, 담임교사, 학교상담자가 인식한 협력의 촉진요인을 탐색하여 장애학생의 학교상담 활성화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개념도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먼저 특수교사, 담임교사, 학교상담자 26명의 개별 면담을 통한 아이디어 진술문으로 구성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특수교사, 담임교사, 학교상담자 41명이 이 자료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중요도를 평정한 후 다차원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체제-주체’, ‘관계-전문성’의 2차원에 바탕을 둔 개념도가 도출되었다. 개념도상에는 총 7개 군집이 드러났는데, 이는 진술문 간 유사성이 높은 순으로 ‘장애학생 친화적 체제 및 학교관리자의 인식’, ‘장애 인식 개선을 돕는 학교 내 인적, 물적 환경’, ‘각 주체 간 협력을 촉진하는 분위기’, ‘각 주체 간 긍정적 관계 및 친밀감’, ‘각 주체 간 문제해결을 위한 적극적 소통’, ‘담임교사의 비차별적 지도 및 특수교사의 장애 인식 개선을 위한 개입’, ‘각 주체의 장애학생을 위한 상담적 개입 전문성’이다. 결론: 중요도 평정 결과를 기반으로 협력의 촉진요인에 대한 전체 집단의 인식과 각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논하고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ster collaboration among the key stakeholders(special educators, general educators, and school counselors) to improve the school counseling services fo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in inclusive middle and high school. Method: A research method called “concept mapping” was used. First, 26 key stakeholders brainstormed idea statements of facilitating factors of collaboration. Subsequently, 41 key stakeholders sorted and rated the list of statements. Finally, the researcher computed the final concept map based on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s: The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identified two dimensions: ‘system-subject’ and relationship-expertise.’ A total of 7 clusters were derived through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school structure and administrative perception improving inclusion,”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s in school improving disability awareness,” “school atmosphere fostering collaboration,” “positive relationship and intimacy among the key stakeholders,” “active communication for problem-solving among the key stakeholders,” “general educators’ non-discriminatory instructions and special educators’ intervention for disability awareness,” and “the key stakeholders’ expertise on counseling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ated importance,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perception of the key stakeholders and differences among the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