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

Meanings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Bansu

초록/요약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사회복지 전문가들이 변화된 대학생 당사자들의 문화를 민감하게 반영해 삶의 질 증진을 도울 기초적 작업이 될 뿐만 아니라,대학생 집단의 행복 지원 목적의 사회복지학 유관 학문 간 융합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입시 성공 사례가 아니어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를 심도 있게 탐구하고자, 대학생 총 5명과 종단적으로 심층면담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olaizzi의 체험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기반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16개의 주제와 함께 “도망칠 곳을 먼저 찾음”, “시작부터 잘못된 재도전”, “자괴감에 억눌린 채 복학함”, “반수 트라우마로 멈춘 성장”, “쓰라림으로 깊어진 내 인생”이라는 5개의 범주를 발견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반수 증가 현상 및 한국의 대학 서열화 문제에 관한 재고찰과 더불어 대학생 시기의 건강한 발달과업 수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논의점을 제공하였다.

more

초록/요약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bansu will not only serve as a basic task for social welfare experts to help improve quality of life by reflecting the culture of changed college students, but will als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convergence of social welfare-related studie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five university students longitudinally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bansu, which has not been well demonstrated since it was not a successful case in the past. The data collected were explored with Colaizzi's empir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with a total of 16 topics, five categories, including “looking for an escape first”, “a wrong re-challenge from the beginning”, “return to school suppressed by shame”, “stalled growth due to bansu trauma”, and “my life deepened by bitterness” were discovered.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this study provided discussion points to support the healthy performance of development tasks during university years, along with the reconsideration of the increasing bansu phenomenon and the university hierarchization issue in South Kore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