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장난감과 혼자 노는 어린이’ : 자동화된 얼굴탐지 영상분석을 통한 장난감 중심 유튜브 키즈 동영상의 사회성 고찰

‘Kids playing alone with toys’ : Contemplation on the sociality of toy-oriented YouTube Kid’s videos by using automated face-detection program for video analysi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유튜브 키즈 동영상에 나타난 아이의 사회성을 탐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튜브 키즈 동영상의 대부분이 장난감 중심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동영상에 나타나는 아이의 사회성을 고찰하였다. 어린이 유튜버 채널의 동영상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장난감 동영상’과 ‘장난감 없는 동영상’의 등장 인원수와 전체 장면 중 인물등장 장면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의 차이를 영상 분석한 결과, 장난감 동영상의 등장인원 수가 장난감 없는 동영상보다 2.036명 더 적게 나타났으며, 2명 이상 출연하는 장면의 비율도 낮게 나타났다. 또한, 동영상 속 어린이들의 사회성 수준에도 차이를 보여 장난감 동영상의 경우는 독립자 역할이 주로 부각된 반면, 장난감 없는 동영상의 경우는 독립자의 역할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촉진자 역할은 장난감 없는 동영상에서 우세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장난감 동영상에 나타난 아이의 모습이 상대적으로 사회성이 저조한 모습으로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또한 방법론적으로 동영상 분석을 위해 OpenCV를 활용한 자동화된 얼굴 탐지 영상 분석 방법을 도입하여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연구를 커뮤니케이션 내용분석과 결합시킨 의의를 가진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paid its attention to the sociability of YouTube Kids video. Particularly, the study has interested in how videos with and without toy differ. We focused on the children YouTuber’s channels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people appearing in the “toy videos” and the “toy-free videos” and the proportion of the scenes in which the person appears in the entire video. Automated image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tect human face(s) in the video and to count the number of face appear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ociality was analyzed by qualitatively evaluating the sociality of main character. According to the our study result, there were 2.036 fewer people in toy-videos, and the proportion of scenes with two or more people was low.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sociality level of the children in the video. In the case of toy-videos, ‘independent player role’ was appeared 40 times, whereas toy-free videos never appeared such role. Rather, ‘facilitator role’ was domina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