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결혼 만족에 의해 조절되는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Work-Family Conflict,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Dual Earner Couple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결혼 만족에 의해 조절되는 양육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021년 1월에 막내 자녀의 나이가 만 4세 이하인 자녀를 양육하는 맞벌이 부부를 대상으로 군집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성실히 응답한 393쌍의 쌍자료를 SPSS22.0과 Mplus8.3을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양육 스트레스는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맞벌이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서 결혼 만족은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 양육 스트레스, 우울의 관계에서 부부의 결혼 만족, 특히 아내의 결혼 만족은 조절된 매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결과는 부부의 결혼 만족, 특히 아내의 결혼 만족이 맞벌이 부부의 일-가정 갈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양육 스트레스를 낮춤으로써 우울을낮출 수 있는 보호기제로 작용함을 확인해 주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일-가정 갈등을 경험하는 맞벌이 부부의 우울 수준을 낮추기위해서는 부부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 및 결혼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on role of marital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 of work-family conflict,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dual earner couples with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383 dual earner couples by cluster sampling in January 2021.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ual earner couples’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Second, the interaction of dual earner couple’s work-family conflict and marital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depression. Thir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ual earner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especially women’s marital satisfaction was found on the associations of work-family conflict,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Results suggested dual earner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can reduce depression in the interaction of parenting stress and work-family conflict. It implied the importance of enhancing marital satisfaction especially wife’s marital satisfaction and reducing parenting stress to decrease dual earner couples’ depression from work-family conflic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