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당뇨 환자 보행 시 발 형태와 당뇨 수준에 따른 발바닥 부위별 족압 특성

Foot Pressure Characteristics by Foot Area according to Foot Type and Glycated Hemoglobin Level When Walking in Diabetic Patients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당뇨 환자의 보행 시 발 형태별, 당뇨 단계별, 발바닥 부위별 족압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만 40-79세의 당뇨병성 신경병증이 있는 사람 83명과 당뇨병이 없는 사람 98명의 총 181명이다. 이들은 당화혈색소를 기준으로 1) 당뇨 정상유지(4.0-6.9%) 2) 당뇨 양호(7.0-7.9%) 3) 당뇨 조절요함(8.0-10.9%) + 절대조절(≥11.0%), 그리고 4) 당뇨가 없는 정상인으로 분류하였다. 발 형태는 기립시 종골기립각도(RCSP)를 기준으로 정상족(±2°), 편평족(≤-3°), 요족(≥+3°)으로 구분하였다. 족저압력은 노블(Novel)사의 족압분포 측정기(EMED-LE Measurement system)를 이용하였고, 서울 소재 E 대학 운동 역학 실험실과 부속 병원 내 8m의 보행 주로 위에서 5번째 걸음을 3회 이상 측정하였다. 보행속도는 100bpm으로 통제하였다. 발 부위는 후족, 중족, 5개 발허리뼈, 5개 발가락의 총 12부위로 나누었다. 족압 변인은 발바닥 부위별 피크압력(kPa), 접지시간(%ROP), 압적((kPa)*s)으로 설정하였다. 자료처리는 크로스컬 월리스(Kruska-walls)와 맨 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을 이용하였다(p<.05). 당화혈색소 수치에 따라, 발형태별로, 발바닥 부위별로 피크압력과 접지시간, 그리고 압적이 다르게 나타났다. 당화혈색소 수준에 따른 보행 시 피크압력과 접지시간, 압적을 같이 비교해 본 결과 피크압력도 크지만, 주로 접지시간이 길어 압적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당뇨단계가 가장 낮은 당뇨 정상유지 단계부터 피크압력이 크고, 발허리뼈, 발가락의 접지시간이 길고, 압적이 높게 나타나 중족과 발허리뼈, 발가락까지 길고 강하게 내리누르는 보행을 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당화혈색소는 정상으로 잘 유지되더라도, 발바닥의 압력은 이미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발목관절의 배/저굴, 외/내번, 내/외전 능력이 부족하여 중족, 발허리뼈, 발가락까지 동시에 사용하여 지면과 접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당뇨 정상유지 단계부터 발목 관절의 세가지 배/저굴, 내/외번, 내/외전 기능 향상을 위한 보행 훈련이 필요하며, 이에 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foot pressure by foot type, diabetes stage, and plantar area when walking in diabetic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1 people aged 40-79 years, 83 people with diabetic neuropathy and 98 people without diabetes. Based on the glycated hemoglobin, 1) diabetes normal maintenance stage (4.0-6.9%) 2) diabetes good stage (7.0-7.9%) 3) diabetes need control stage (8.0-10.9%) + absolute control stage (≥11.0%), and 4) were classified as a non-diabetic group. Foot type was classified into Pes Rectus (±2°), Pes Planus (≤-3°), and Pes Cavus (≥+3°) based on the RCSP when standing. For plantar pressure, Novel's EMED-LE Measurement system was used, and the fifth step was measured three or more times in the 8m walking path in the E University Kinesiology Laboratory in Seoul and the affiliated hospital. The walking speed was controlled at 100 bpm. The foot area was divided into 12 areas: hindfoot, midfoot, 5 metatarsal bone, and 5 toes. Foot pressure variables were set as peak pressure(kPa), contact time(%ROP), and pressure((kPa)*s) for each sole part. For statistics, Kruskal-walls and Mann-Whitney U test (p<.05) were used. According to the glycated hemoglobin level, the peak pressure, contact time, and pressure-time integral were different for each foot type and sole area.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eak pressure, contact time, and pressure-time integral during walking according to the glycated hemoglobin level, it was found that the pressure-time integral was increased because the contact time was mainly longer than the peak pressure. From the diabetic normal maintenance stage, the lowest diabetic stage, the peak pressure of the midfoot was large, the contact time of the metatarsal bone and toes was long, and the pressure-time integral was high. Therefore, even if the glycated hemoglobin remains normal, it means that the pressure on the soles of the feet is already changing. This is because the ankle joint lacks dorsi/plantar flexion, inversion/eversion, and adduction/abduction abilities, so the mid foot, metatarsal bones, and toes are simultaneously used to contact the ground. Therefore, gait training is required to improve the three functions of the ankle joint from the normal maintenance stage of diabetes, and research on this is a future task.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