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학교폭력 가해 학생 특별교육 실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Experiences in Elementary Schools With Special Education on School Violence

초록/요약

학교폭력은 여전히 우리 교육계에 커다란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중등학교와 비교하여 초등학교 내 학교폭력 신고 및 접수가 급증하여 가해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특별교육이 초등학교 내에서 증가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진행되는 가해 학생 대상 특별교육의 효과와 장점, 한계점과 단점을 확인하고 특별교육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위하여 전문상담교사 8명을 대상으로 특별교육의 실시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영역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교내 특별교육의 효과 및 장점 영역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향상, 높은 접근성, 빠른 라포 형성, 원활한 추수 지도, 즉각적인 소통, 교내 전문상담교사의 입지 강화 그리고 학생에 대한 낙인 방지라는 범주가 확인되었다. 둘째, 교내 특별교육의 한계점및 단점 영역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업무량 증가, 학생과 관계 형성의 어려움, 비밀보장의 어려움, 학생이 가지는 부정적 인식, 그리고 정보 전달의 효율성 저하라는 범주가 확인되었다. 셋째, 특별교육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선점 영역에서는 특별교육 매뉴얼, 특별교육 연수 그리고 교내 협력 관리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현직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현장감 있는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학교폭력 가해 학생 특별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more

초록/요약

School violence is still a major problem in our educational communities,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 number of reports on school violence in elementary schools is increasing rapidly compared to secondary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advantages,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of special education for perpetrator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it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nduct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special education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in elementary schools. As a result of the study, 3 areas and 15 categories were derived. First, in the areas of effectiveness and advantages of special education in school, the categories of school counselors’ improvement, high accessibility, rapid rapport formation, smooth follow-up counseling, instant communication,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school counselors, and prevention of stigmatization were identified. Second, in the areas of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of special education in school, the categories of increased workload of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students, compromised confidentiality, negativ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reduced efficiency of information delivery were identified. Third, manuals of special education, training of special education, and in-school cooperative management were identified as necessary improvements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elementary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