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회피성 성격 성향이 사회불안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성격강점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avoidant personality on social anxie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oderation effect of character strength

초록/요약

본 연구는 회피성 성격 성향과 사회불안, 심리적 안녕감, 성격강점의 관계를 알아보고 회피성 성격 성향과 사회불안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이 조절변인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A사이버대학교 대학생, 대학원생 및 일반 성인 255명을 대상으로 회피성 성격장애 척도, 사회불안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성격강점 검사를 실시하였고 기술통계, 상관, 위계적 회귀를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회피성 성격장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는 성격강점인 리더십, 끈기가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리더십과 끈기는 각각 회피성 성격장애와 상호작용하여 사회불안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반면 회피성 성격장애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조절 역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에 대한 추가적 분석을 위해 회피성 성격장애 척도 하위요인 중 사회불안과 중복 측정치에 가깝고, 심리적 안녕감과 반대 측정치에 가까운 사회적 위축을 배제하고 회피성 성격장애의 수정지표를 구성하였다. 회피성 성격장애의 수정된 지표를 독립측정치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피성 성격장애의 수정된 지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성격강점 리더십과 활력이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성 성격장애의 수정된 지표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도 성격강점 리더십과 활력이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리더십, 끈기, 활력 등의 성격강점이 회피성 성격장애의 부적응적인 증상을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적응적인 면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는 주요한 긍정 임상심리적 변인임을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의의를 논의 했고,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mor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연구모형 7
Ⅱ. 이론적 배경 8
1. 회피성 성격장애 8
2. 사회불안 13
3. 심리적 안녕감 15
4. 긍정심리학와 성격강점 18
5. 긍정임상심리학 24
Ⅲ. 연구방법 27
1. 연구대상 27
2. 측정도구 27
(1) 회피성 성격장애 척도 27
(2) 사회불안 척도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 28
(3) 심리적 안녕감 척도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28
(4) 성격강점 검사 (Character Strengths Test: CST) 29
3. 연구절차 29
4. 자료분석 30
Ⅳ. 연구결과 31
1. 측정 변인간의 상관관계 31
2. 회피성 성격장애와 사회불안,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조절효과 34
(1) 회피성 성격장애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조절효과 34
(2) 회피성 성격장애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조절효과 39
3. 회피성 성격장애의 수정된 지표와 사회불안,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조절효과 41
(1) 회피성 성격장애의 수정된 지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조절효과 41
(2) 회피성 성격장애의 수정된 지표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조절효과 47
Ⅴ. 논의 53
참고문헌 60
부록 67
ABSTRACT 7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