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 :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이중매개효과

A Study on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Social Anxiety: Focused on serial mediation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ichotomous thinking.

초록/요약

본 연구는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가 순차적인 직렬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라 가정하고, 네 변인의 관련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생 57명, 서울 소재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졸업한 86명, 직장인 129명이었다.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적 공포 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 척도, 개정판 이분법적 사고 지표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 각각의 완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의 사람들에게서 사회불안이 발생하고 유지되는데 기여하는 주요한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이에 성격적 특성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보다는 인지적 변인인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에 개입하는 것이 사회불안을 낮추는데 더 효과적임이 시사되었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순차적인 직렬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이분법적 사고가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의 인지적 편향을 촉진하거나 가속화시킴으로써 사회불안을 발생, 심화시키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이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의 사람들이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의 인지적 편향을 보일 때, 이분법적 사고에도 개입하는 것이 사회불안을 낮추는데 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하였다. 셋째,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하위유형 중에 완벽주의적 자기노력이 사회불안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하였다. 주요어: 직렬매개효과,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사회불안, 이분법적 사고.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

more

목차

I. 서론 0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1
2. 이론적 배경 04
1)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04
2) 사회불안 07
3)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 09
4)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사회불안 11
5) 이분법적 사고와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13
6)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 15
3. 연구문제 17
1)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 각각의 매개효과 17
2)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직렬매개효과 17
3)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하위유형과 사회불안과의 관련성 17
II. 연구방법 18
1. 연구대상과 절차 18
2. 측정도구 20
1) 한국판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20
2)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21
3) 사회적 공포 척도 21
4)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 척도 22
5) 개정판 이분법적 사고 지표 22
3. 통계분석 24
III. 연구결과 25
1.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의 경향성과 평균점수 차이 25
2.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효과 27
1)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 각각의 매개효과 27
2)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내인력 부족과 이분법적 사고의 직렬매개효과 34
3.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의 하위유형과 사회불안과의 관련성 38
Ⅳ. 논의 41
참고문헌 48
부록 59
Abstract 67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