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아동학대와 아동권리 및 아동학대 예방교육 필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

The study of parents' recognition about child abuse, child right, and demand on prevention education in child abuse

초록/요약

국문초록 아동학대와 아동권리 및 아동학대 예방교육 필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 내에서 아동의 주양육자인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학대의 인식, 아동권리의 인식, 그리고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5개 어린이집의 0세~5세 아동을 둔 부모 212명이다. 부모의 아동학대와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은 양미례(2016)의 설문지를 사용하고,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필요성은 이미훈(2014)의 설문지를 토대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부모의 아동학대와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의 아동학대 인식과 아동권리 인식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아동학대, 아동권리,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아동학대는 아동학대 유형별로 신체학대, 정서학대, 성학대, 방임으로 구분하였으며 아동학대 인식 전체의 평균은 5점 만점에 4.61(M=4.61, SD=.75)로 부모의 아동학대 인식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고, ‘성학대’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4.79(M=4.79, SD=.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동권리는 4개의 기본권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으로 구분하여 알아본 결과, 부모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의 전체 평균은 5점 만점에 4.72(M=4.72, SD=.32)로 대체로 높게 나타났고, ‘보호권’에 대한 인식이 4.81(M=4.81, SD=.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 대상의 교육이나 세미나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 50명(23.6%), 아동학대 예방교육 및 세미나를 받은 기관은 ‘유아교육기관 내 자체교육’ 29명(13.7%)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예방교육이나 세미나를 통해 아동학대와 방임에 대해 잘 알 수 있도록 교육받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교육만족도는 ‘대체로 그렇다’ 30명(14.2%), 아동학대 예방교육이나 세미나에 참석한 경험이 없는 응답자는 162명(76.4%)으로, 아동학대 예방교육이나 세미나에 참석을 못한 주된 이유는 ‘참석할 기회가 전혀 없었다’가 101명(54.6%)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예방 및 인식증진을 위해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나 세미나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매우 필요하다’가 108명(50.9%)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학대에 관련된 지식을 획득하여 학대로부터 아동을 보호하기 위해’가 136명(35.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향후 아동학대 예방교육 및 세미나에 참석 여부를 살펴 본 결과 ‘참석 하겠다’가 77명(36.3%)으로 나타났다.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아동학대 예방교육을 받는다면 어떤 경로를 통해 교육받고 싶은지 살펴 본 결과 ‘전문가의 강의를 통해서(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 세미나)’가 165명(51.1%)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해 시급하게 실시되어야 할 방안에 대해 살펴본 결과 ‘부모의 인성교육’이 138명(24.8%)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향후 아동학대 예방교육 내용에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1순위는 ‘양육자의 상담 방법이나 양육자 교육에 대해서’가 65명(30.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동학대 인식 증진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한 1순위는 ‘양육은 부모의 권한이므로 간섭할 수 없다는 생각의 개선’이 58명(27.4%)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 인식과 아동권리 인식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권리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아동학대에 대한 부모의 인식(r=.30, p<.01)과 그 하위요인인 신체학대(r=.34, p<.01), 정서학대(r=.34, p<.01), 성학대(r=.15, p<.01), 방임(r=.31, p<.01)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은 부모는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또한 전반적으로 높고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부모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과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은 높았지만 아동학대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해 아동학대의 올바른 대처방법에 대한 인식이 낮으므로 아동학대의 명확한 기준과 개념교육 등의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을 강화한 실질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양한 홍보와 장기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주제어 : 아동학대, 아동권리, 아동학대 예방교육

more

초록/요약

ABSTRACT The study of parents’ recognition about child abuse, child right, and demand on prevention education in child abuse Kim, Yoonhee Home Economics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Graudate School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sidering about recognition about child abuse for parents who are major fosterer of children in family, recognition of children right, and necessity of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2 parents who have children in 0~5 years old of five day care centers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or child abuse of parents and recognition about children right, it uses a questionnaire of Yang(2016), and for necessity of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it used after researcher revises and supplement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Lee(2014). For figuring out recognition about child abuse and children right of parents of parents, it calculat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recognition of necessity of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and conduct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relation between recognition of child abuse of parents and children right recogni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recognition about necessity of child abuse, children right,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of parents, overall average of child abuse recognition is 4.61, so the child abuse recognition of parents appeared high comparably, and recognition about 'sexual abuse' appeared 4.79, which is the highest. As a result that it examined by dividing recognition about children right of parents into right to live, right of protection, right to development, and right to participate, overall average of recognition about children right of parents appeared 4.7, which was comparably high, and recognition about 'right of protection' appeared 4.81, which was the highest. As a result of examining recognition of parents about necessity of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responders who have participated in education or seminar targeting parents for child abuse prevention were 162 (76.4%), and institute that received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and seminar appeared 29 (13.7%) in 'self education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 Educational satisfaction about if they think if they were educated to know well about child abuse and neglecting through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or seminar were 30 (14.2%) in 'most likely', and responders who have never participated in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and seminar, The major reason why they could not participate in child abuse education appeared 10 (54.6%) in 'there were no chance to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and seminar targeting parents of child abuse prevention and increase of recognition appeared 108 (50.9%). The reason why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is required is because 'for protecting children from abuse by obtaining knowledge regarding abuse' appeared 136 (35.5%), which was the highest, a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can participate in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and seminar in the future, 'attend' appeared 77 (36.3%). As a result of examining which channel they want to get educated if they receive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targeting parents, 'through lecture of professional (parents education conducting in daycare center or kindergarten, seminar) appeared 165 (51.1%). As a result of examining which plan should be urgently conducted for preventing child abuse generated in family, 'personality education by parents' appeared the highest with 138 (24.8%). The first priority that is thought as the most required for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content appeared 'about consulting method of fosterer or fosterer education' appeared the highest with 65 (30.8%). The first priority that answered that it is needed the most for increase of child abuse recognition, 'since improvement of thought called 'since rearing is a parental right, it is not allowed to interfere' appeared the highest with 58 (27.5%).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relation between child abuse recognition and children right recognition, it may be known that recognition of parents about children right has meaningful correlation with physical abuse (r=. 342), mental abuse (r=. 342), sexual abuse (r=. 147), and neglecting (r=. 313). I,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uggest based on study result as following. Since recognition about child abuse of parents and recognition about children right were high but recognition about right coping method is low because it cannot distinguish child abuse clearly, it needs various promotions and long-term education are needed by developing actual parents education program that reinforced child abuse preventive program such as clear standard and concept of child abuse. Key words : child abuse, children right, child abuse preventive education

more

목차

목 차

국문초록 …………………………………………………………………………………… ⅰ
목 차 …………………………………………………………………………………… ⅲ
표 목 차 …………………………………………………………………………………… ⅴ
그림목차 …………………………………………………………………………………… ⅴ

1. 서 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 문제 ………………………………………………………………………… 6
1.3. 용어의 정의 ………………………………………………………………………… 6
1.3.1. 아동학대 ………………………………………………………………………… 6
1.3.2. 아동권리 ………………………………………………………………………… 7
1.3.3. 아동학대 예방교육 ……………………………………………………………… 7

2. 이론적 배경 …………………………………………………………………………… 8
2.1. 아동학대의 개념 및 유형 ………………………………………………………… 8
2.2. 아동권리의 개념과 중요성 …………………………………………………… 13
2.3. 아동학대 예방교육의 개념과 내용 ……………………………………………… 15
2.4. 선행연구 고찰 ……………………………………………………………………… 17
3. 연구방법 ……………………………………………………………………………… 19
3.1. 연구 대상 및 연구 절차 ………………………………………………………‥ 19
3.2. 연구 도구 …………………………………………………………………………… 22
3.2.1. 부모의 아동학대 인식에 대한 측정도구 ………………………………… 23
3.2.2. 부모의 아동권리 인식에 대한 측정도구 ………………………………… 23
3.2.3. 부모의 아동학대 예방교육 필요성에 대한 측정도구 ……………………… 23
3.3. 자료 분석 ………………………………………………………………………… 24

4. 연구결과 ………………………………………………………………………………… 25
4.1. 부모의 아동학대, 아동권리, 아동학대 예방교육 필요성의 인식 …………… 25
4.1.1. 부모의 아동학대 인식 ………………………………………………………… 25
4.1.2. 부모의 아동권리 인식 ………………………………………………………… 27
4.1.3. 부모의 아동학대 예방교육 필요성의 인식 …………………………………… 29
4.2. 부모의 아동학대 인식과 아동권리 인식의 상관관계 ………………………… 37

5. 논의 및 요약 ………………………………………………………………………… 39
5.1. 요약 ………………………………………………………………………………… 39
5.2. 논의 및 제언 ……………………………………………………………………… 42

6. 참고문헌 ……………………………………………………………………………… 45

7. ABSTRACT …………………………………………………………………………… 49

8. 부록 ………………………………………………………………………………… 5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