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미술치료 프로그램과 다문화가정 청소년 자아 존중감 향상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 : 중국출신의 중도입국 청소년을 중심으로

초록/요약

오늘날은 전 세계가 하나의 공동체라는 지구촌 개념 속에 살고 있다. 저 출산과 고령화, 3D업종 기피현상에 의한 노동력 부족으로 이주 노동자의 입국과 결혼 이주자 등 다문화 가정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 중에서 결혼 이주자가 아닌 부모들의 노동에 의한 입국과 한국인과 재혼한 어머니나 아버지가 본국에서 낳은 자녀들이 중도에 입국하면서 대두되는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문제 또한 다문화 가정의 문제와는 다른 문제를 보이고 있다. 중도에 입국하는 학령기의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언어소통의 어려움, 문화, 정서적 충격, 불평등과 차별로 인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회적, 교육적 문제점들이 자아 존중감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가 불안할수록 많은 사람들은 심리적 요인에 의지하게 되어 많은 예술 치료법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그 한 예로 집단미술치료가 있다. 본 연구는 집단 미술치료가 중도입국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에게 잠재되어 있는 감정들을 자연스럽게 표출하고 성취감을 느끼도록 하여 부정적인 자아상을 긍정적인 에너지로 전환시켜 정서적 교감능력과 소통능력, 적극적인 교우관계 개선 등 사회적, 정서적 자아 존중감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내용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팔달로 141번길 4에 위치한 다문화권 대상 청소년 예비학교에 재학 중인 중국출신의 중도입국 다문화 가정 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1회, 소요시간은 90분 이내로 총 11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미술활동은 예비학교 독서실에서 진행하였고 각 프로그램 회기 때마다 연구대상자의 행동변화 등 작업과정을 개인별로 관찰하고 질문하는 과정을 통해 작품 제작 의도를 파악,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후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자아 존중감 검사와 HTP(그림투사) 변화를 분석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전 과정은 초기단계, 중기단계, 종결단계로 구성하여 초기 단계에서는 연구 대상자들이 프로그램 진행 연구자와 친밀감 형성과 긴장완화, 그리고 미술활동의 흥미 유발을 목표로 구성하였고, 중기 단계는 자유로운 내면을 표현하고 표출하면서 그리고 승화 시키는 과정을 거쳐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수용에 대한 과정으로 구성 하였다. 마지막 종결 단계에서는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의 꿈을 향해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목표를 설정,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청소년의 자아 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사전, 사후를 통한 HTP 그림 검사에서 자신과 환경에 대한 잠재된 내적 감정과 갈등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표출함으로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집단미술치료에 사용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이 작품을 완성해 가는 과정의 경험을 통해 내면의 잠재된 무의식 감정을 표출하고 창작의 결과물로 인해 성취감, 자신감 등을 회복하여 긍정적인 사회저그 정서적 변화가 자아 존중감 향상에 큰 도움이 되리라는 점을 시사한다.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1.2 연구의 제한점 3
2. 이론적 배경 4
2.1 미술치료의 이해 4
2.2 자아 존중감의 이해 7
2.3 다문화가정과 중도입국 청소년의 이해 9
2.3.1 다문화가정의 정의 9
2.3.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유형과 문제점 9
2.3.3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의미와 문제점 11
3. 연구방법 12
3.1 연구대상 13
3.2 연구절차 14
3.3 연구도구 15
3.3.1 자아 존중감 척도(SES) 검사 15
3.3.2 H,T,P(House, Tree, Person) 검사 17
3.3.3 미술활동 프로그램 설계 및 분석방법 18
4. 연구결과 및 분석 20
4.1 미술활동을 통한 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자아 존중감 사전, 사후 검사 변화 비교분석 20
4.2 다문화가정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사전, 사후 HTP 그림 검사 비교분석 24
4.3 미술활동 프로그램 진행과정의 변화추이 41
5. 결론 68
6. 참고문헌 71
Abstract 7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