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 척도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erceived Youth Empowerment Scale

초록/요약

이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청소년사업의 중요한 목표로 다루어지고 있는 청소년 임파워먼트의 의미를 고찰하고, 개인 심리적 차원에 초점을 두는 기존의 임파워먼트 개념을 조직과 지역사회 차원으로 확장하여 이를 청소년사업 현장에 적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사업과 임파워먼트에 관한 선행연구 및 이론들을 검토하여, 청소년이 개인과 조직,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힘과 영향력을 인식하고 실현하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하는 ‘임파워먼트로서의 청소년사업’ 관점에 입각한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으로 개념화 하였다. 다음으로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 구성하는 요소와 이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을 도출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개인, 조직, 지역사회 차원에 속하는 9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구인화 하였다.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의 구인화 모형은 개인, 조직, 지역사회 차원으로 구성되었다. 개인 차원의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은 자기 목표의식, 자기 조절력, 자기 의사결정 행동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직 차원의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은 조직 영향력, 조직 리더십, 조직 의사결정 참여행동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지역사회 차원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은 지역사회 영향력, 지역사회 참여의식, 지역사회 의사결정 참여행동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각 구성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90개 기초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대학 및 청소년현장 전문가 7명을 대상으로 한 안면타당도 검증과 고등학생 7명을 대상으로 한 표면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총 예비조사 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개발된 문항들은 Likert-5점 척도를 활용하여 평정하도록 구성되었다. 예비조사는 2017년 2월 6일부터 15일 까지 총 10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조사대상은 경기도 지역 1개 고등학교 1~3학년 70명과 4개 청소년 수련시설의 청소년운영위원회 및 자치조직 청소년 35명을 임의 표집하였다. 수집된 105명의 자료 가운데 2명의 자료를 제외한 103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각 문항의 분포와 변별력 등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 분석과 Cronbach-α, 문항-전체 간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 척도 요인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총 46개 문항(개인 12, 조직 19, 지역사회 15)이 도출되었으며,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의 구인화 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조사는 2017년 3월 13일부터 26일 까지 총 14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조사대상은 경기도내 5개시의 7개 고등학교 1~3학년 1,050명을 표집 하였으며, 회수된 976명의 자료 중 71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905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조사 분석은 예비조사와 마찬가지로 기술분석, Cronbach-α, 문항-전체 간 상관관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얻어진 요인 구조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최대우도추정법에 의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총 35개 문항(개인 10, 조직 13, 지역사회 12)이 도출되었으며, 예비조사와 마찬가지로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의 구인화 모형을 지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임파워먼트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척도인 일반적 자기효능감, 능동적 참여 시민의식 척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공인타당도, 판별타당도, 신뢰도 모두 유의미한 양호도를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최종 확정된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 척도의 35개 문항을 활용하여 본조사에 응답한 고등학생 청소년 905명의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 수준과 인구사회학적 변수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의 평균은 3.22(.48)로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차원별로는 개인 차원 3.45(.52), 조직 차원 3.23(.63), 지역사회 차원 3.03(.61)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지역사회 차원의 임파워먼트 인식이 개인 및 조직 차원의 인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주요 인구사회학적 변수는 현재 재학 중인 학년과 가정 경제수준 인식, 성적, 주로 활동하는 조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이나 학교 유형, 거주 지역, 부모 동거여부는 일부 차원 및 구성요소에 한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거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학년이 낮을수록, 가정 경제수준 잘 사는 편이라고 인식하는, 성적이 중간 이상인,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청소년수련시설 동아리·자치조직이나 지역사회 청소년·시민단체에서 활동하는 청소년의 임파워먼트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의 구성요소별 집단 간 차이의 경향은 차원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사업의 맥락에서 청소년 개인의 특성과 개인, 조직, 지역사회 차원 임파워먼트 인식의 구성요소 간의 관계가 쉽게 일반화되거나 통합적으로 고려되기 어려움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청소년 임파워먼트를 강조하는 청소년사업의 맥락에서 그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청소년이 처한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상황을 보다 상세하고 면밀하게 살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청소년의 민주사회 참여, 사회통합과 결속력 강화와 같은 청소년사업의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개인의 역량 개발에 대한 관심을 조직과 지역사회 차원에서 청소년이 가지는 실질적인 영향력의 인식과 실현을 돕기 위한 노력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확증하는 결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는 단지 개인 차원의 변화를 목표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정하는 교육이나 활동, 복지, 보호와 같은 접근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청소년을 현재의 사회 구성원으로서 힘과 영향력을 가지고 자신의 삶의 질을 개선하며 사회 변화를 이끌어 가는 ‘구성원’으로 바라보는 관점으로의 전환에서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년사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방법적 초점이 학교 내·외의 다양한 청소년 조직들이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영향력을 실현할 수 있는 ‘플랫폼(platform)’을 제공하는 것으로 진화해가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청소년사업은 청소년 개인의 능력을 개발하는 것을 넘어 조직과 지역사회 차원에서 청소년이 처한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여건을 개선하여 청소년이 동등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실질적인 힘과 영향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임파워먼트로서의 청소년사업’을 지향해 가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임파워먼트로서의 청소년사업’ 관점이 지니는 의의는 청소년사업의 개념을 청소년을 둘러싼 조직과 지역사회의 차원으로 확장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청소년사업에서 논하는 청소년의 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특정 연령대의 개인에서 조직과 사회에서 다양한 삶의 모습을 가진 구성원으로 확장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 기반을 둔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 척도’는 청소년 개인과 자신이 속한 조직 및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다. 이는 청소년의 문제행동 개선, 역량 강화, 삶의 질 개선과 사회통합과 같은 청소년사업의 목표를 논하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청소년 시설·단체를 포함하는 청소년사업 현장 그리고 청소년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접근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초록/요약

Empowerment is an issue that has been presented as an important goal of youth work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erceived youth empowerment’ scale that extends existing psychological empowerment to the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level in the context of youth work. The study was performed in four phases: 1) Conceptualization of 'perceived youth empowerment', and establishment domain of components; 2) Items development of ‘Perceived Youth Empowerment Scale’; 3)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scale; and 4) Analysis of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In phase 1, conceptualization and components of 'perceived youth empowerment' based on the viewpoint of 'youth work as empowerment' were presen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related to youth work and empowerment. In the context of youth work, empowerment was defined as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individual being influenced by interpersonal and social settings, at the same time, controlling his or her own life, recognizing and realizing the power that can affect to organization and community’. It was constructed as control and impact, competence, and decision-making behavior 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levels; Intrapersonal dimension consisted of self control, self awareness of goals, and self determination behavior.; Organizational dimension was consisted of organizational impact, organizational leadership, organizational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behavior.; And community dimension consisted of community impact,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and community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behavior. In phase 2, an initial set of 90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phase 1 and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items were revised and deleted through the content-related validity verification. The developed items were structured to evaluate using the Likert-5 scale. In phase 3,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were field test.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70 students of a high school, 35 young peoples of youth organizations in 4 youth centers. After conducting the item analysis,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set of 46 items were selected.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some components was somewhat insufficient. So, in the main test, some items of pilot test were removed and 80 items were used. The main test was conducted with 1,050 students of 7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fter conducting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a set of 35 items(intrapersonal: 10, organizational: 13, community: 12) were selected. These items were confirmed to support the component model of Perceived Youth Empowerment Scale. In phase 4, utilizing the 35 items in the final confirmation Perceived Youth Empowerment Scale,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905 young peoples of demographic groups who response to main test. The major demographic variables that were found to differ in the Perceived Youth Empowerment Scale were the school grade, self-perceived family economic status, self-perceived level of school performance, and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al activiti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tendency of group differences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erceived Youth Empowerment Scale differed somewhat according to the dimen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youths and the components of perception of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community level empowerment in youth work is not easily generalized or integrated.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youth work emphasizing youth empowerment, it will be necessary to examine the individual,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 of each youth in detail.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youth work such as participation of youth in democratic society, social integration and solidarity,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ndividual youth expand to influence of youth in the organization and community level. This is not only an approach such as education, activity, welfare, and protection that sets youths as' targets' for the purpose of changing individuals, but also limits youths' power to influence their own lives. It can be started from the viewpoint of seeing it as a 'agentsr' that improves quality and leads social change. In addition, the methodical focu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youth work means that various youth organizations within and outside the school need to evolve into providing a 'platform' to realize their influence based on the community. In this context, the youth work is not only to develop the individual ability of the youth, but also to improve the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conditions of the youth at the organization and community level, so that the youth can realize real power and influence as members of an equal society. It will be necessary to aim at "youth work as empowerment" to help. The significance of the viewpoint of 'youth work as empowerment' is to extend the concept of youth work to the level of organization and community surrounding youth. This can be a starting point for expanding the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existence of youth in the youth work from individuals of a certain age group to agents with various life forms in the organization and society. Based on this viewpoint, the 'Perceived Youth Empowerment Scale' can be used as a tool to grasp the perception of youth individuals and their organizations and communities. It is expacted provide a useful approach to youth work practice(including government, youth facilities, youth institutes, and researchers) that work to achieve goals such as improving youth risk behaviors, capacity building,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clusion.

more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6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제 1 절 청소년사업과 임파워먼트 8
제 1 항 청소년사업의 목적과 이론적 관점 8
제 2 항 청소년사업 목적으로서의 임파워먼트 15
제 2 절 청소년 임파워먼트의 비판적 고찰 20
제 1 항 임파워먼트의 이론적 관점 20
제 2 항 청소년 임파워먼트의 차원 26
제 3 항 통합적 청소년 임파워먼트 모델 32
제 4 항 임파워먼트로서의 청소년사업 41
제 3 절 청소년 임파워먼트의 측정과 평가 44
제 4 절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의 구성요소 52

제 3 장 연구의 절차 및 방법 58
제 1 절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의 구인화 모형 설정 59
제 2 절 측정 문항의 개발 및 척도 구성 60
제 3 절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66
제 1 항 예비조사 실시 및 분석 66
제 2 항 본조사 실시 및 분석 67
제 4 절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 척도의 적용가능성 검토 70
제 4 장 연구의 결과 71
제 1 절 예비조사를 통한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71
제 1 항 문항분석 72
제 2 항 구인타당도 분석 78
제 2 절 본조사를 통한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87
제 1 항 문항분석 88
제 2 항 구인타당도 및 공인타당도 분석 95

제 5 장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 척도의 적용 128
제 1 절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의 일반적 수준 128
제 2 절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의 차원별 구성요소 분석 135
제 1 항 개인 임파워먼트 인식 135
제 2 항 조직 임파워먼트 인식 139
제 3 항 지역사회 임파워먼트 인식 144

제 6 장 결론 및 제언 150
제 1 절 연구의 요약과 결론 150
제 2 절 연구의 함의 및 제언 156

참고문헌 162

부 록
1.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지 180
2. 예비조사의 1차 요인분석 결과 186
3. 청소년 임파워먼트 인식 척도 개발 연구 본조사 설문지 189
4. 본조사의 1차 요인분석 결과 197

Abstract 20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