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 학교생활적응 매개효과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 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지역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 대학생 455명에게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lf 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한국판으로 표준화한 자아존중감 척도, 박지원(1985)이 개발한 척도를 기초로 허영선(2009)이 재구분한 사회적 지지척도, 문은식(2002)의 만든 척도를 최임숙(2004)이 수정 보완한 학교생활적응 척도, Diener의 삶의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WIN 19.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통계적 분석모형을 사용하여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분석 검증하였고,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관계에서 정적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며,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이 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의 정도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동시에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 높아지며,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실존적 공허감에 빠져 있는 대학생들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직접적인 도움을 위한 상담이 개입될 때 자아존중감과 더불어 학교생활적응의 수준이 높아질 것이며, 이를 통해 대학생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도 향상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학교생활적응, 삶의 만족도

more

초록/요약

The study was intended to search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about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 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The study was analyzed from the data of 455 male/female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located in Jeollabuk-do. For the tools of the study, the social support scale re-categorized from the scale developed by Park Jiwon(1985), which had been standardized for Korean version from the Self Esteem Inventory by Coopersmith(1967), the scale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Choi Imsuk(2004) from the scale by Mun Eunsik(2002).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tilizing SPSS/WIN 19.0 Program. By using the statistical model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about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 esteem and social support on the life satisfaction was analyzed and verified while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executed to look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and among self esteem, social support,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positive correlation appeared in every correlation. As a result of hiera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proven that i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appears positive i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while no mediating effect appears in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self esteem,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life satisfaction while there are partial positive correlations in their self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Such results also mean that the degree of their self esteem directly affects their life satisfaction and simultaneously, higher self esteem leads higher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their life satisfaction. Hence, developing practical social welfare program for the students who are in a sense of existent emptiness or consulting for intervening in direct support or aid would increase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as well as self esteem, through which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would be improved significantly. Keyword: self esteem, social support, adaptation to school life, life satisfaction.

more

목차

표 목차 ⅲ
그림목차 ⅴ
영문초록 ⅵ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필요성 1
제 2절 연구의 목적 3
제 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5
제 1절 자아존중감 5
제 2절 사회적지지 8
제 3절 학교생활적응 15
제 4절 삶의 만족도 20
제 3장 연구 설계 24
제 1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24
제 2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도구 25
제 3절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7
제 4절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자료 분석방법 27
제 4장 분석 결과 29
제 1절 주요 변수의 분포 특성 29
제 2절 측정 변수의 상관관계 44
제 3절 가설 검증 45
제 5장 결론 및 제언 53
제 1절 연구 결과 53
제 2절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54
참고문헌 56
국문초록 72
부 록 7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