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진동자극과 슬링을 이용한 목 안정화운동이 근 기능 및 자세 개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s with Vibratory Stimulation and a Sling on Myofunction and Postu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경미한 목 통증을 가진 20대를 대상으로 진동자극과 슬링을 이용한 목 안정화운동이 근 기능 및 자세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목 장애지수 측정 시 5점 이상 15점 미만의 경미한 목 장애가 있는 자 60명을 대상으로 6주간 슬링을 이용하여 머리-목 굽힘운동을 실시한 집단(집단 Ⅰ), 아래턱 벌림자세에서 머리-목 굽힘운동을 실시한 집단(집단 Ⅱ), 머리-목 굽힘운동과 진동자극을 동반한 집단(집단 Ⅲ), 아래턱 벌림자세에서 머리-목 굽힘운동과 진동자극을 동반한 집단(집단 Ⅳ)으로 각 집단별 15명으로 나누어 적용하였다. 각 집단의 목 장애지수, 깊은 목 굽힘근의 두께, 근력, 근 지구력, 정적 안정성, 머리 재위치 조절능력, 신체정렬과 족저압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운동 전, 운동 후 3주, 운동 6주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목 장애지수의 변화는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2. 깊은 목 굽힘근의 근 두께는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22, 24, 28, 30 ㎜Hg에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목빗근의 근 두께 변화는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28, 30 ㎜Hg에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머리-목 굽힘 시 최대 근력과 지구력의 변화는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4. 정적 안정성의 변화는 목 굽힘 시 진자운동, 병진운동, 목 폄 시 진자운동, 병진운동 모두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5),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 머리 재위치 조절능력은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오른쪽 돌림, 왼쪽 돌림, 폄에서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6. 신체정렬은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머리, 어깨에서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족저압의 변화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운동 전·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각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슬링을 이용한 머리-목 굽힘운동 시 아래턱 벌림 상태에서 진동자극이 목 장애지수, 깊은 목 굽힘근의 두께, 머리-목 굽힘 시 최대근력과 지구력, 머리 재위치 조절능력, 신체정렬과 족저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집단 중 아래턱 벌림과 진동자극을 동반한 머리-목 굽힘운동이 보다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임상에서 치료적 중재로써 아래턱의 움직임과 진동자극의 병행은 보다 효과적인 깊은 목 근육 활성화와 머리 조절능력을 향상하는 운동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s applied by vibratory stimulation and a sling on myofunction and posture improvement in with mild neck pain. Sixty subjects, who scored between 5 and 15 on the neck disability index and had mild neck pain, were trained by applying a sling.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Group Ⅰ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n=15), Group Ⅱ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the mandible open, n=15), Group Ⅲ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vibratory stimulus, n=15), and Group Ⅳ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the mandible open and vibratory stimulus, n=1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neck disability index, the thickness of deep neck flexor muscle,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static stability, head repositioning ability, body alignment, and foot pressure were assessed. Measurements were taken before the exercise, and 3 weeks and 6 weeks after the exercise in each group.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ck disability index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groups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p<0.05). Second, for the thickness of deep neck flexion musc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groups (p<0.05);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t 22, 24, 28, and 30 ㎜Hg (p<0.05). In terms of the thickness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groups (p<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t 28 mmHg and 30 ㎜Hg (p<0.05).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atic stability of both pendular and translational movements during neck flexion and extension between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groups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05). Fifth, the ability to reposition the hea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groups (p<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bilateral rotation and head extension.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alignment and foot pressure before and after exercise in all groups (p<0.05). For the intra-group comparis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dy alignment at the head and shoulder (p<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ot pressure between groups (p<0.05).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s with a vibratory stimulus applied to an open mandible using a sl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neck disability index, the thickness of deep neck flexor, maximum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head repositioning ability, body alignment, and foot pressure. Among the groups, those who performed craniocervical flexion exercise with an open mandible and vibratory stimulus had more positive effects than any other group.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mandible exercises and vibration as a therapeutic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could be conducted as a method to enhance effective deep-neck muscle activation and postural head control.

more

목차

표 목차 ⅳ
그림 목차 ⅵ
영문초록 ⅹ
1.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4
1.3 연구의 가설 5
1.4 이론적 배경 6
1.4.1 진동운동 6
1.4.2 슬링운동 8
1.4.3 목의 안정화운동 9
1.4.4 턱관절과 자세와의 관계 10
2. 연구방법 11
2.1 연구대상 11
2.2 연구설계 13
2.3 중재방법 15
2.3.1 슬링에서 아래턱 벌림 유무에 따른 머리-목 굽힘운동 15
2.3.2 슬링에서 아래턱 벌림 유무와 진동자극이 동반된 머리-목굽힘운동 16
2.4 연구도구 및 측정방법 17
2.4.1 목 장애지수 17
2.4.2 깊은 목 굽힘근 두께 변화 18
2.4.3 머리-목 굽힘근 최대근력 및 근 지구력 평가 19
2.4.4 목뼈 정적 안정성 평가 20
2.4.5 머리 재위치 조절능력 평가 21
2.4.6 신체정렬 및 족저압 평가 22
2.5 자료처리 방법 24
3. 결과 25
3.1 목 장애지수의 변화 25
3.2 근 두께 변화 28
3.2.1 깊은 목 굽힘근의 두께 변화 28
3.2.2 목빗근의 두께 변화 34
3.3 머리-목 굽힘근의 최대 근력 및 근 지구력 변화 40
3.3.1 머리-목 굽힘근의 최대 근력 변화 40
3.3.2 머리-목 굽힘근의 지구력 변화 43
3.4 목뼈 정적 안정성 변화 46
3.4.1 목뼈 굽힘 시 진자운동의 변화 46
3.4.2 목뼈 굽힘 시 병진운동의 변화 52
3.4.3 목뼈 폄 시 진자운동의 변화 58
3.4.4 목뼈 폄 시 병진운동의 변화 64
3.5 머리 재위치 조절능력의 변화 70
3.6 신체정렬 및 족저압 변화 75
3.6.1 신체정렬의 변화 75
3.6.2 족저압의 변화 80
4. 고찰 83
4.1. 깊은 목 굽힘근 두께와 근력, 근지구력의 변화 84
4.2. 정적 안정성과 머리 재위치 조절능력의 변화 86
5. 결론 88
참고문헌 90
국문초록 9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