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광화문광장, 일그러진 근대의 욕망

Gwanghwamun Square, distorted desire of modernity

초록/요약

<국문 초록> 제목 : 광화문광장, 일그러진 근대의 욕망 이 연구는 지난 2009년 8월 1일 개장된 광화문광장의 발생학적 근거와 구성 원리 및 조형 요소에 대하여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물론 이 연구는 단순히 그러한 행정 과정이나 물리적 요소의 조형 분석에 그치지 않고 광화문광장에 집적된 21세기 한국 사회의 집합적 욕망을 탐사하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삼는다. 이렇게 광화문광장이 내면화하고 있는 한국 사회의 집합적 욕망을 최종의 분석 목표로 삼는 까닭은 광화문광장이 단순히 대도시의 어느 한가로운 공간에 널찍하게 마련된 휴식형 공원이 아니라, 시간의 축을 길게 소급하자면, 무려 600여 년의 기나긴 역사적 경험을 축적하고 있는 세종로 한복판에 조성된 공공 공간이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 현대사의 격랑 속에서 광화문광장을 포괄하는 세종로 일대는 정치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상징이 되어 왔다. 한국 현대사에서 ‘광화문’이나 ‘광장’이란 단어는 격동의 역사적 분기점들을 단번에 지시한다. 실제로 5.16 군사 정변 같은 권력 상층부의 쿠데타나 1987년 민주화 항쟁 같은 아래로부터의 시민적 저항 같은 사건 혹은 2002한일 월드컵 때의 문화적 열정 등에서 확인되듯이 ‘광화문’이나 ‘광장’은 미리 선점하거나 쟁취해야할 정치사회적 욕망의 공간이었다. 오랫동안 구체적인 실체나 특정한 물리적 공간 없이 다만 상징의 차원에서 쓰인 ‘광화문광장’이란 단어가 적지 않은 의미를 농축하고 있음을 볼 때, 2009년 8월 1일에 구체적인 물리적 공간을 점유하면서 개장한 실물로서의 ‘광화문광장’은 여러 측면에서 분석해 볼 만한 학문적 가치가 상당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다음의 세 가지 측면을 고려하였다. 첫째,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광화문광장과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세종로 일대가 한반도에서 다른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600여 년 시간을 함축하고 있는 역사적 공간임을 확인하고 새로 개장한 광화문광장이 그 역사적 의미를 제대로 구현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이 연구는 기본적으로 광화문광장이 서울이라는 대도시의 한복판에 위한 대규모 공공 공간이라는 점에 주목하였다. ‘광장’이라는 명칭에서 직접적으로 표명되듯이 광화문광장은 주거단지의 공원이나 유원지의 위락시설이 아니라 도심 한복판에 조성된 공공 공간이다. 이 연구는, 바로 이 점에 주목하여 대도시의 공공 공간이 갖는 의미와 광화문광장의 공공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셋째, 인간의 삶이란 역사적이거나 정치적인 추상적 개념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만 동시에 구체적인 삶의 공간(주로는 도심지 생활 공간)을 절실히 원하고 그 안에서 나날의 일상이 영위된다고 볼 때, 광화문광장은 오늘날 시민적 욕망의 투사된 공간이며 그것의 설게 조성 작업을 주관한 서울시 역시 21세기의 시민 생활에서 요구되는 문화적 욕망을 일정하게 반영하였음을 이 연구는 두루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광화문광장을 중심으로 한 서울 도심지의 구성/재구성이 특정 자치단체장의 문화적 취향이나 정치적 야심이 일정하게 작용한 ‘전시 행정’의 측면도 있지만 본질적으로는 도심 재개발을 통한 권력과 자본의 영향력 증대 및 도시 중산층의 문화적 욕망이 투사된 결과임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광화문광장이라는 역사적·문화적 상징 공간 분석을 통하여 한국 사회의 집합적 정서의 변화와 그 욕망의 본질을 해명하고자 했다는 데에 그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more

초록/요약

<ABSTRACT> Title : Gwanghwamun Square, distorted desire of modernity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mbryological backgrounds, a constitution principle and formative elements of Gwanghwamun Square which was opened on 1st of Aug, 2009. It aims to investigate the assembled desire of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ultimately, not just analyzing administrational procedures and physical factors. The goal of this study comes from the fact that Gwanghwamun Square is not only the park for relaxation in a big city but it is the public space located in the center of Sejongno where the long historic experiences have been accumulated over 600 years. Sejongno and the whole area around it has been an important symbol in a political sociological way through the modern history of Korea. The words such as 'Gwanghwamun' and 'Square' indicate the historic turning points in Korean modern history. It has been the space of political sociological desire which should be preoccupied as we can verify from the political events like the coup in 1961, the democratization in 1987 and FIFA World Cup in 2002. As the symbolic word 'Gwanghwamun Square' has acquired the significant meaning without any physical space, 'Gwanghwamun Square' as a real square which was opened in 1st of August, 2009 has the big worth for study in various aspects. I gave the consideration of 3 following aspects for this study. First, it is to confirm that Sejongno and the whole area is a historic space with 600 years and newly-opened Gwanghwamun Square acquires the historic meaning. Second, it is to verify that Gwanghwamun Square is a big-scaled public space in one of the biggest cities, Seoul. As we can check from the name 'Square', it is not just park for relaxation, but the public space formed in center city.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meaning of public space in a big city and the publicness of Gwanghwamun Square. Third, it is to confirm that Gwanghwamun Square is the space with citizen's desire, and Seoul city has applied the cultural desire which is required in city life of 21st century, as citizen's life demands not only a historic, political and abstract concept of space but a concrete space to manage a life. Finally,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the reorganization of the center city of Seoul including Gwanghwamun Square is the result of the increase of the power and capital through the redevelopment and the projection of cultural desire of the middle class. It is not just the demonstration effect by the cultural taste and political ambition of a specific head of local government.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explain the change of group emotion of Korean society through analyzing Gwanghwamun Square as a historic and cultural symbolic space.

more

목차

목차

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 배경 1
1. 광장, 욕망의 공간 1
2. 세 가지 측면에서 본 광화문광장 2
제 2 절. 연구 방법 6
1. 현대 도시 및 서울 연구 현황 7
2. 주요 개념 9
3. 기존 연구의 의의 10

제 2 장. 역사적 기억으로서의 광화문 13
제 1 절. 광화문광장 조성의 기본 개념 13
1. 역사문화축과 역사복원 13
2. 광화문광장 조성 사업의 진행 과정 14
제 2 절. 왕조 이념의 실현 공간 16
1. 경복궁의 정문(正門)으로서 광화문 16
2. 통치 행위의 확장 공간, 육조거리 20
3. 국왕의 거둥이 갖는 정치적 의미 23
4. 수문장 교대식과 세종대왕 동상 26

제 3 장. 일제 식민 통치와 광화문광장 31
제 1 절. 제국의 도시계획과 식민 통치 31
1. 일제의 경성 도시계획 32
2. 제국의 박람회와 이식된 오리엔탈리즘 34
3. 전시장으로서의 경복궁 37
제 2 절. 조선총독부와 광화문광장의 역사문화축 개념 38
1. 식민지 지배의 전일성과 항구성을 위한 공간 장악 38
2. 역사 청산과 광화문광장 41

제 4 장. 강압적 국가주의와 광화문광장 44
제 1 절. 미완의 복원 44
1. 가시적 복원과 제한적 운영 45
2. 동원된 근대화와 광화문광장 46
3. 기념비적 동상과 광장의 상징 정치 47
4. 총독부 철거와 역사 청산 51
제 2 절. 역사 청산과 광화문광장의 구성연구가설의 설정 52
1. 광화문광장의 배치 논쟁 52
2. 복원과 재현 54

제 5 장. 욕망의 공간, 광화문광장 58
제 1 절. 도시연구와 광화문광장 58
1. 19세기의 도시 연구 58
2. 벤야민의 도시 연구 59
제 2 절. 광화문광장의 공간 구성 63
1. 구경거리로서의 역사적 기억 63
2. 도시 브랜드로서의 광화문광장 65
제 3 절. 도시 중산층 욕망과 광화문광장 68
1. 젠트리피케이션과 광화문광장 68
2. 장소성과 장소 상실 70
3. 상품으로서의 도시 73
4. 광화문광장의 공공성 비판 75

제 6 장. 결론 : 광화문광장, 일그러진 근대의 욕망 78
1. 왜 일그러진 근대의 욕망인가 79
2. 광화문광장과 비인간적 도시 상황 80
3. 도시 공간의 상품화와 급진적 문화 운동 81
4. 이 연구의 한계와 제언 82

참고 문헌 85

국문 초록 90

영문 초록 9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