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임파워먼트로서의 이혼과정 연구 : 가정폭력 피해 여성 사례 연구

초록/요약

이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이 가정폭력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대응하고 저항하여 선택한 이혼과정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아울러 ‘이혼’에 대한 여성들의 관점이 기존 통념과 같이 수동적이지 않음을 보여주어 이혼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이 체험했던 결혼 제도의 폭력성과 억압의 경험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경험과 단절한 이혼 과정 속에서 여성들이 어떻게 임파워먼트 되었는지를 살펴보았고, 임파워먼트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과제들을 그녀들의 경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동안 연구자가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을 상담하고 만나본 결과 피해 여성들이 수동적이고 무기력한 ‘피해자’라는 인식은 가부장적인 체제의 담론에 불과하였다. 참여자들은 스스로 대응하고 저항하는 해방의 주체로서 이혼을 선택하였고 이혼은 참여자들에게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참여자들은 어린 시절에 ‘가부장제의 폭력’과 ‘젠더 차별’을 경험하였다. 이혼 전, 참여자들은 유년기, 청소년기에 여성이라서 겪는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를 경험했다. 가부장 제도는 가족제도 안에서 오랫동안 여성들의 삶을 통제해왔다. 둘째, 참여자들은 성장기 과정에서 가족의 따뜻함을 느껴보지 못했던 까닭에 도피처로서 결혼을 선택하였다. 결혼을 당연한 생애과정으로 받아들였고 결혼을 통해 새로운 가정을 만들면 행복해질 것이라는 참여자들의 생각은 결혼과 동시에 깨지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결혼 초부터 남편과의 관계에서 대등한 위치에 있지 못했고 남편들은 자신의 권위를 아내를 학대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인정받으려 했다. 이에 여성들은 스스로의 전략과 대응으로 이혼을 준비하였다. 셋째,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의 이혼은 대부분 쉼터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이혼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대응과 저항, 협상을 하며 인생의 실패자로서의 모습이 아닌, 새로운 도전을 통해 임파워링된 주체가 되었다. 이혼 후 참여자 모두 이혼을 결정한 것에 기뻐했으며 참여자들이 가장 만족스러워했던 것은 ‘자신이 마음대로 무엇이든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을 들었다. 참여자에게 이혼은 곧 ‘임파워먼트’였고 이혼 후 여성은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고 현재와 미래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전환을 경험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혼이 인생의 실패가 아니라 새로운 삶의 시작이라는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임파워먼트로서 이혼과정의 지속성을 위한 과제들은 무엇인가?’에 대해 참여자들은 이혼과정에서 겼었던 다양한 어려움 중에서 ‘경제적 어려움’, ‘쉼터 운영의 문제점’, ‘자녀양육’ 등에 대한 고민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정폭력 피해 여성이 이혼과정에서의 임파워먼트를 지속할 수 있도록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과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가정폭력, 이혼, 생애사, 심층면접, 쉼터, 임파워먼트

more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방법 4
1) 연구 방법 및 과정 4
2) 연구 참여자 7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주요 개념
1. 이혼과 가정폭력에 대한 연구 9
2. 임파워먼트 개념 12
1) 세력화로서의 임파워먼트 14
2) 조 롤랜즈의 임파워먼트 개념 18

Ⅲ. 폭력과 차별의 악순환
1. 성장기의 폭력과 차별 22
1) 성장기 가정폭력의 경험 22
2) 젠더 차별 28
2. 결혼: 폭력의 악순환 35
1) 도피처가 될 수 없었던 남편 35
2) 가정폭력의 고통 38

Ⅳ. 임파워먼트로서의 이혼 50
1. 행위성의 인식(sence of agency) : 이혼의 계기와 단절 51
1) 폭력으로부터의 단절 52
2) 자녀를 위해 57
3) 남편의 경제적 무능력 60
2. 자기 확신(self-confidence) 62
3. 자기 존중(self-esteem) 67

Ⅴ. 임파워먼트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과제
1. 경제적 자립의 필요성 71
2. 쉼터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74
3. 자녀 양육에 대한 어려움 78

Ⅵ. 결론 및 제언 82


참 고 문 헌 89
ABSTRACT 94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