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재외국민의 귀국 재적응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귀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djustment Programs for Returning Overseas Koreans : Focusing on Returning Undergraduate Students

초록/요약

국 문 초 록 본 논문의 연구는 귀국 대학생들의 국내 재적응 과정에서 필요한 부분들을 알아내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귀국 대학생들의 재적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적응 프로그램을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고, 이를 위해 ‘귀국 대학생들은 재적응 과정에 어떤 문제와 요구들을 갖는가?’, ‘귀국 대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재적응 프로그램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의 구체적인 하위 문제를 설정하였다. 선행연구와 8명의 귀국 대학생 심층인터뷰, 그리고 실제 귀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타래 프로그램의 참여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문제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및 심층인터뷰 진행결과 첫째, 귀국 대학생들 중 정체성 확립이 안 된 이른 나이에 해외 생활을 경험한 학생들은 해외 적응에는 큰 어려움이 없었으나, 거주기간 중 또는 귀국 후 정체성에 더 많은 혼란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각 개인이 가지고 있는 해외체류 당시 ‘정체성과 관련한 경험’과 귀국 후 새로운 문화를 수용할 의지와 마음의 여유가 있는지의 ‘문화 수용도’는 이들의 재적응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귀국 대학생들은 국내 재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별도의 수업형식보다 체험중심의 프로그램을 더 선호했으며, 비슷한 경험을 공유한 ‘또래모임’, 귀국 대학생 선배들의 ‘멘토링’, 해외에서 습득한 다문화적 경험을 발휘할 수 있는 ‘대외교류활동’ 등을 필요로 했다. 타래 프로그램 진행결과, 참가자들은 비슷한 성장배경을 공유하는 또래와의 만남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느꼈고, 수업보다는 본인이 직접 활동할 수 있는 체험형식의 프로그램에서 더 높은 만족도와 흥미를 보였다. 또한, 본인이 해외에서 습득한 언어 및 다문화적 경험을 발휘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서는 일정 수준의 자부심을 느끼는 모습도 확인할 수 있었다. 선행연구와 심층인터뷰, 타래 프로그램의 참여관찰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귀국 대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재적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원칙은 다음의 세 가지와 같다. 첫째, 재외국민으로서 같은 해외 체류 경험을 공유한 또래집단 중심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둘째, 스스로의 정체성을 찾아나갈 수 있도록 하는 장기적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셋째, 재외국민의 다문화적 경험과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위 제시한 원칙을 토대로 귀국 대학생의 재적응을 돕기 위한 세 가지 형식의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첫째, 문화교류 프로그램 - 친목, 멘토링, 한국문화교육:언어교환 둘째, 교육봉사 프로그램 – 자아실현, 사회기여, 자존감향상 셋째, 이중문화 활용 프로그램 – 국제교류, 다문화 서포터즈, 능력신장 대학교, 민간단체, 그리고 정부기관이 협력한다면 귀국 대학생들이 재적응 기간 중 겪을 수 있는 어려움들을 극복하면서 동시에 그들이 해외에서 습득한 다문화적 경험과 재능을 모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노력은 귀국 대학생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환기시킬 뿐 아니라, 귀국 대학생 스스로가 한국 사회에서 본인의 역할을 찾을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문화 다양성 진흥에 도움이 될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5
3. 연구대상 6
1) 재외동포와 재외국민 6
2) 귀국 대학생 9

Ⅱ. 귀국 대학생의 현황과 경험 12
1. 귀국 대학생의 현황 12
2. 귀국 대학생의 경험 14
2-1. 문화정체성과 귀국생활 만족도 15
2-2. 재적응 과정의 문제들 24
1) 문화적응 24
2) 외로움 28
3) 자아실현 욕구 30

Ⅲ. 재외국민의 재적응을 돕는 프로그램 제안 33
1. 앞선 경험 33
1-1. 선행연구 33
1-2. 프로그램 참여관찰 35
2. 프로그램의 원칙 40
3. 재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제안 41
1) 문화교류 프로그램 42
2) 교육봉사 프로그램 43
3) 이중문화 활용 프로그램 44

Ⅲ. 결론 48

참 고 문 헌 51
ABSTRACT 56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