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이미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의 성화상 논쟁 고찰 : 8세기 및 16세기 논쟁 중심으로

Considerations on Iconoclastic Controversy from the ‘Image Ideology’ Perspective: Focusing on the 8th and 16th Centuries

초록/요약

본 논문은 성화상 논쟁에 대하여 역사(historiography)와 사상(philosophy and methodology)이라는 두 개의 주제를 동시에 다룬 연구이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별되는 독특성을 띠고 있다. 본 연구는 ‘이미지 이데올로기(image ideology)’ 측면에서 8세기 비잔틴 시대와 16세기 종교개혁 시기의 성화상 논쟁의 발단 원인을 규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국교회의 ‘이미지 이데올로기’ 실태를 진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성화상 논쟁에 관한 연구는 논쟁 발단의 외면적 요인을 중점적으로 다룬 반면, 본 논문은 그 내면적 요인을 밝히는데 초점을 맞췄다. 연구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이미지 이데올로기’라는 새로운 개념을 정립하여 해석의 툴(tool)로 사용하였다. ‘이미지 이데올로기’는 이미지의 속성으로서의 이데올로기(ideology as an attribute of image)와 ‘이미지의 이미지’의 속성으로서의 이데올로기(ideology as an attribute of image of image)를 동시에 지닌 해석체계를 의미한다. 이것은 이미지가 본래적으로 이데올로기를 내포하고 있다는 사상에 근거하고 있다. 이미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성화상 논쟁의 발단 원인을 조명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8세기 비잔틴 시대의 성상논쟁은 성화상 파괴를 주도하였던 황제 레오 3세(Leo Ⅲ, 717-41 재위)와 성화상 숭배를 옹호하였던 교황 그레고리우스 2세(Gregorius Ⅱ, 715-31 재위)의 이미지 이데올로기 충돌로 인해 발생한 사건임을 밝혀냈다. 레오 3세는 ‘황제 교황주의(Caesaro-papism)를, 그레고리우스 2세는 ‘교황 황제주의(Papo-caesarism)’ 라는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성화상(icon)이라는 이미지를 이데올로기적 수단으로 이용하였던 것이다. 둘째, 16세기 종교개혁 시기의 성화상 논쟁 역시 칼슈타트(Andreas Rudolf Bodenstein von Karlstadt, 1480-1541)와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의 서로 대립하는 ‘이미지 이데올로기’의 충돌 현상이라는 점을 규명하였다. 종교개혁 초기 성화상 논쟁은 표면적으로는 두 사람 간의 성화상 이미지에 대한 해석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미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조명해 본 결과, 칼슈타트와 루터가 종교개혁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성화상 이미지를 이데올로기적 수단으로 삼았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셋째, 위의 두 사건에서 도출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대 한국교회의 ‘이미지 이데올로기’ 실태를 점검하였다, 그 결과, 앞선 성화상 논쟁들과 유사한 현상이 한국교회 안에 재현되고 있다는 사실을 규명해 낼 수 있었다. 이것을 두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하나는, 일반 신자들 속에 만연되어 있는 ‘성서우상(bibliolatry)’ 현상이다. 한국교회 안에는 8․16세기 신자들이 기복 신앙의 수단으로 이용하였던 성화상(icon)이 성서(Bible)로 대체되어 성서 그 자체를 숭배하는 현상이 만연되어 있다. 신자들이 성서의 말씀을 통해 신앙심을 고양시키기보다는 성서 자체를 신성시하여 기복 수단으로 이용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성서 우상화 현상이 생기게 된 데는 성서에 사용된 단어의 일점일획까지 하느님께서 개입하셨다는 축자영감설(逐字靈感說)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다른 하나는, 담임목사 등 설교자들 가운데에 만연되어 있는 ‘버블 이미지(verbal image)’ 또는 ‘버블 아이콘(verbal icon)’ 현상이다. 이것은 자신이 의도한 바를 관철시키기 위해 무한하신 하느님을 유한한 단어로 한정시켜 표현하거나 성서의 말씀을 인위적이고 단정적으로 해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대형교회 담임목사들은 중세 시대의 정치 및 종교권력자들처럼 자신의 기득권을 유지하고 자신이 의도하는 방향으로 교회를 운영하기 위해 성서의 말씀을 이데올로기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이면에는 개교회주의(個敎會主義)와 담임목사 중심제가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일부 대형교회가 운영하고 있는 지교회(枝敎會) 및 지성전(枝聖殿) 제도는 본교회의 담임목사가 성서의 말씀을 이용하여 자신의 종교권력을 유지하는 전형적인 이미지 이데올로기적 수단이 되고 있다. 8세기 비잔틴 시대의 성화상 논쟁을 기점으로 시작된 그리스도교의 이미지 담론은 오늘날에 이르러 단순히 신학적 담론에 머물지 않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사상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이데올로기와 연결되어 거대담론(meta-discourse)이 되고 있다. 이것은 이데올로기가 이미지의 속성이라는 본 논문의 관점에서 볼 때, 당연한 논리적 귀결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본 논문이 이론적으로는 성화상 논쟁 연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틀을 제시하고, 정책적으로는 한국교회를 향하여 이미지 이데올로기에 대한 경각심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였다고 자평한다.

more

목차

목 차

국문초록 ⅳ
약어표(ABBREVIATIONS) ⅶ

Ⅰ. 서론
1. 연구에 대한 소개 1
2. 선행연구사 3
3. 연구방법과 내용 11

Ⅱ. 이미지 이데올로기의 이해
1. 이미지의 이해 13
(1) 이미지의 어원과 시대별 이미지 사상의 변천 13
(2) 이미지의 정의 23
(3) 이미지의 기능 28
2. 이데올로기의 이해 31
(1) 이데올로기의 기원과 의미 변천 31
(2) 이데올로기의 정의 32
(3) 이데올로기의 기능 35
3. 이미지 이데올로기의 정의 38
(1) 이마골로기 39
(2) 시뮬라크르 41
(3) 이미지 이데올로기 개념 정의 43
Ⅲ. 이미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8세기의 성화상 논쟁 조명
1. 성화상 논쟁에 대한 일반론적 이해 45
(1) 성화상 논쟁 발생 및 전개과정 45
(2) 성화상 숭배금지 칙령 선포의 요인 50
(3) 성화상 파괴주의와 성화상 옹호주의 견해 58
2. 이미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성화상 논쟁의 성격분석 67
(1) ‘이미지의 속성으로서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조명 67
(2) ‘이미지의 이미지 속성으로서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조명 71
3. 이미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초기 성화상 논쟁의 발생원인 분석 76
(1) 황제 레오 3세의 이미지 이데올로기 76
(2) 교황 그레고리우스 2세의 이미지 이데올로기 88
4. 이미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의 종합 소견 99

Ⅳ. 이미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종교개혁 시기의 성화상 논쟁 조명
1. 종교개혁자들의 성화상에 대한 입장 104
(1) 칼슈타트의 성화상에 대한 입장 104
(2) 루터의 성화상에 대한 입장 106
(3) 칼뱅의 성화상에 대한 입장 109
(4) 츠빙글리의 성화상에 대한 입장 115
(5) 소결론 118
2. 이미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성화상 논쟁의 성격분석 121
(1) ‘이미지의 속성으로서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조명 121
(2) ‘이미지의 이미지 속성으로서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조명 124
3. 이미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종교개혁 초기 성화상 논쟁의 발생원인 분석 130
(1) 칼슈타트의 이미지 이데올로기 131
(2) 루터의 이미지 이데올로기 137
(3) 이미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의 종합 소견 148

Ⅴ. 한국교회와 이미지 이데올로기
1. 한국교회의 이미지 이데올로기 분석 150
(1) 현대판 성화상 숭배로서의 ‘성서 우상화’ 실태와 문제점 151
(2) 이미지 이데올로기 측면에서의 한국교회 조명 157
2. 한국교회를 위한 제언 163

Ⅵ. 결론
1. 연구요약 168
2. 연구의 한계 171
3. 연구의 함의 172

참고문헌(BIBLIOGRAPHY) 174
영문초록(ABSTRACT) 18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