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공공성 회복을 위한 이론과 지역교회의 실천 : 시민 사회와 지역 교회의 연대를 위하여

초록/요약

인간집단의 삶이 유기체적 관계망 구조 속에서 영위되는 현대사회에서는 교회도 사회적 공공성(公共性)을 갖추어야할 책임에서 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교회는 단지 전도의 효율성을 위해 현대적인 문화 코드를 적용하는 것에 머물 것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공공선을 증진시키는 데까지 나아가야 한다. 기독교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교회 내적 목적만이 아니라 공공선을 증진하기 위한 사회의 보편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서 가장 시급한 것이 교회의 정체성과 목적을 보여주는 “공적 진리로서의 복음”을 회복하는 것이며, 그것의 실천적 적용이다. “공적 진리로서의 복음”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더불어숲동산교회가 추구한 공공성의 비전은 “도시 변화”와 “마을만들기”다. 이러한 비전을 하나의 키워드로 표현했는데 그것이 바로 “페어라이프”다. 그렇게 한 이유는 “페어라이프”가 성경에서 선포하고 있는 하나님 나라의 가치를 가장 잘 나타내는 동시에 이 시대의 모순과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과제와 대안을 나타내는 키워드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우리는 “페어라이프”의 하위 키워드로 1) 함께 짓는 공간, 2) 공정무역, 3) 문화예술, 4) 나눔과 환대, 5) 사회적 경제(사회적 경제), 6) 배움(교육), 7) 생태, 그리고 8) 플랫폼이라는 8가지 키워드를 선정했다. 도시 변화와 마을만들기를 위한 구체적인 사역의 영역을 8가지 키워드로 정리한 것이다. 이 논문은 지역 교회가 공공성을 회복하기 위해 페어라이프라는 키워드를 붙든 이유와 8 가지 키워드를 통해 실제적으로 어떤 사역들을 했는지에 대한 보고이다. 하지만 공공성의 회복이라는 차원이 “정치적인 것과 공적인 것의 분리”라는 성격은 아니었다. 이 시대의 진정한 문제 중 하나가 “정치의 과잉”이 아닌 “제대로 된 정치의 과소”라는 인식이 있었으며, 마을만들기의 약점이 “정치의 부재”라는 사실과 정치가 담긴 마을의 공론장을 통해 생활세계를 회복하는 것이 진정한 마을만들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진정한 공공성의 회복을 위해서는 교회가 “타자를 위한 교회”여야 함을 분명히 했다. 진정한 교회는 타자를 위한 교회이기 때문에 “타인의 얼굴”에 응답하여 “몫 없는 자들의 몫”을 찾는 사역을 해야 한다. 이것이 세월호 참사 등 이 땅의 아픔 앞에서 교회가 침묵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이 논문은 세월호 참사 이후 정치적 사안에 대해 더불어숲동산교회가 어떻게 반응했는지에 대한 보고이기도 하다. 이러한 실천적 사례를 통해 지역 교회와 시민 사회가 아름다운 연대가 생기기를 바란다. 아무쪼록 교회는 공공성을 회복하는 것이 교회의 본질적이고 선교적인 사명임을 자각하고, 시민사회는 교회를 공공성 실현을 위한 파트너로 받아들이기를 바란다.

more

목차

제 1 장 서 론 1
1.1 한국교회 무엇이 문제인가? 1
1.2 논문의 목적과 접근방법 4

제 2 장 교회의 공공성 회복을 위한 이론과 주요개념 6
2.1 모든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는 사회 6
2.2 사적 신앙에서 공적 신앙으로의 전환 8
2.2.1 복음의 공공성 회복과 공공신학 9
2.2.2 진보적인 교회의 공공성 실천 11
2.3 공론장과 생활세계 13
2.4 공공성의 실천으로서 마을만들기 운동 16
2.5 마을만들기 NGO를 통한 사역의 필요성 19
2.5.1 왜 “페어-라이프”인가? 22
2.5.1.1 사회적 자본 : 신뢰, 소통, 협력 22
2.5.1.2 실질적 공정성 : 평등, 형평성, 상호주의 23
2.5.1.3 생활정치의 활성화와 민주적 공공성 25
2.5.2 정치성을 담은 공공성 27
2.6 세월호 참사 앞에 침묵하는 한국교회의 문제점 28
2.6.1 정교분리의 원칙과 로마서 13장 해석 30
2.6.2 중립을 지키는 것은 죄이다 32

제 3 장 지역교회의 실천 34
3.1 함께 짓는 공간 38
3.2 공정무역 40
3.2.1 제 3의 장소 40
3.2.2 공정무역 캠패인과 공정무역 교실 42
3.3 문화예술 45
3.4 나눔과 환대 46
3.5 사회연대경제(사회적 경제) 49
3.6 배움(교육) 52
3.6.1 토요일만 예술학교 53
3.6.2 꿈의 학교 55
3.7 생태 58
3.8 플랫폼 59
3.9 세월호 참사에 대한 윤리적 반응 63
3.9.1 기억의 사회화 : 노란 리본을 달다 65
3.9.2 예언자적 선포 66
3.9.3 유가족들을 위한 공방 68
3.9.4 사회선교부 신설 69
3.9.5 세월호 참사로 인한 교회의 변화 70

제 4 장 결 론 71

참고문헌 7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