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 가톨릭 노동운동연구 (1958-95) : 자율적 공간의 생성과 소멸을 중심으로

A study of korea catholic labor movement

초록/요약

이 논문은 한국 가톨릭 노동운동의 전개과정을 통해 노동운동에 어떠한 역할과 영향을 미쳤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가톨릭 노동운동이 활동했던 58년 이후 95년 민주적 노동조합의 전국조직인 ‘민주노총’ 결성 이전까지 시기를 다루었다. 이 논문에서는 가톨릭노동운동과 일반 노동운동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질문을 제기하고 있다. 첫째, 가톨릭 노동운동의 특징은 무엇이며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치며 한국사회 노동운동에 영향을 미쳤는가. 둘째, 가톨릭노동운동과 제도교회, 국가, 산업선교, 노동운동과의 상호관계는 무엇이며 이는 가톨릭노동운동의 생성과 소멸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이러한 질문의 해답을 위해 이 논문은 가톨릭 노동운동의 변화과정과 노동운동과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자율적 공간’이라는 개념적 틀(Conceptual framework)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율적 공간’의 변화에 따라 각 시기를 나누고 가톨릭 노동운동의 생성과 소멸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톨릭 노동운동의 가장 큰 특징은 ‘소모임’에 기초한 운동이었다. 이는60년대 후반이후 노동현장과 연결되면서 70년대 민주노조운동의 기반이 되었다. ‘소모임’은 이후 80년대에 노조운동이 성장할 수 있도록 기층조직의 토대와 저변을 형성하였다. 둘째, 가톨릭 노동운동은 노동운동의 대상을 조직화된 노조운동의 외부에 존재하는 주변화 된 노동자들, 즉 60-70년대의 식모, 버스안내양, 탄광노동자, 부두노동자, 이향노동자등에 다양한 노동계층에 대한 ‘사회조사’를 통해 이들의 문제를 사회적으로 여론화하고 노동환경의 개선을 촉구하였다. 셋째, 가톨릭 노동사목의 교육은 기존의 계급이론에 기초한 노동교육과 다른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노동자의 인간관계형성을 중심으로 한 ‘자아발견 교육’, ‘인성교육’등 노동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교육은 노동자를 단순히 교육의 대상이 아닌 교육의 주체로 참여시키며 노동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는 집단적 작업이었으며 노동자로서의 자주성과 의식화 형성에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넷째, 가톨릭 노동운동의 주체 형성은 60년대 이후 이루어졌고 이들은 70년대 민주노조운동과 연결되고 90년대 이후까지 각 지역 ‘노동사목’의 주요 지도자로 활동하였다. 가톨릭 노동운동의 주체는 평신도 노동자들이었으며 운동 초기부터 이루어진 ‘지도자 양성’은 가톨릭 노동운동이 오랜 기간 지속될 수 있었던 동인이 되었다. 가톨릭 노동운동은 교회라는 단일한 주체에 의해 실행된 것이 아니라 평신도 노동자가 주체를 형성한 운동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가톨릭 노동운동이 형성한 ‘자율적 공간’의 외부에 존재하는 국제 JOC 운동, 산업선교 운동, 한국노총 계통의 일반 노동운동, 지식인 출신의 활동가들이 많은 급진적 노동운동세력 등과 교환하는 협력과 갈등관계를 고찰함으로써 가톨릭 노동운동과 기존 노동운동의 차별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주제어: 가톨릭 노동운동. 자율적 공간. 노동운동. 교회. 노동조합

more

목차

목 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대상의 시기구분. 방법 7
1) 시기구분과 대상 7
2) 연구방법과 자료 11
3. 선행연구검토 15
4. 이론적 배경 26
1) 종교사회학 이론과 교회의 사회교리 26
2) 사회운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31
3) 기존 노동사 연구에 대한 이론적 검토 35
4) 자율적 공간에 관한 이론적 배경 38
5. 분석틀: ‘자율적 공간’의 역할과 특징 42
1) 자율적 공간의 특징과 한계 42
2) 논문의 구성 48

Ⅱ. ‘자율적 공간’의 생성과 JOC 운동 (1958-67) 50
1. JOC 운동의 이념과 특징 51
1) 레룸노바룸(Rerum Novarum)과 가톨릭 사회교리의 등장 51
2) 까르딘 사상과 JOC 운동 53
3) JOC 운동의 이념 55
4) JOC 활동 원리-관찰(SEE), 판단(JUDGE), 실천(ACT).사회조사 57
2. JOC 운동의 주체와 성격 59
1) JOC 운동의 주체와 특징 59
2) JOC 소모임 특징 62
3) JOC 조직 체계와 운영방법 64
4) 외부로 부터의 시작-국제 JOC 운동 67
5) 한국 JOC 운동과 국제 가톨릭 노동운동과의 차이 68
3. JOC 노동운동의 도입과 정착 (1958-1967) 70
1) JOC의 출발 -자유 노동자들과의 접촉 70
2) 노동현장과 JOC 조직과의 결합 73
3) 사회조사방법과 노동자 실태 조사연구 74
4) JOC 사회조사 - ‘가사(식모) 노동자실태 조사’ 76
5) 60년대 JOC 운동 78
4. 60년대 가톨릭교회와 에큐메니칼 운동 79
1) 한국 가톨릭교회의 ‘노동헌장’ - ‘우리의 사회신조’ 79
2) 60년대 신. 구교 에큐메니칼 운동 80
5. 소결 : JOC 운동의 생성과 자율적 공간의 형성 (1958-67) 82

Ⅲ. 강화직물 노동자사건과 가톨릭 노동운동(1965-68) 84
1. 강화직물 산업의 배경 84
1) 강화직물산업의 역사 84
2) 강화지역의 특성과 가톨릭 노동운동의 출발 85
3) 60년대 강화직물 공장의 형성과정 86
2. 강화 JOC 운동의 시작 88
3. 심도직물 노동조합의 결성과 전개과정 91
4. 또 다른 심도- 상호직물 노동조합 117
1) 상호직물 노조 결성과정 118
2) 혈서사건 - 노동자의 존엄과 가치를 찾기 위한 몸부림 120
5. 강화 직물노동자 사건의 역사성 124
6. 소결 126

Ⅳ. ‘자율적 공간의 확대’와 가톨릭 노동운동의 성장(1968-74) 128
1. 2시기의 JOC 운동 129
1) JOC의 소모임 활동과 공장의 변화 129
2) JOC ‘소모임’ 활동과 현장활동 사례 132
3) JOC의 조직활동과 확장위원 제도 133
4) 2시기 JOC와 노동현장에서의 투쟁 사례 134
2. ‘근로자 회관’과 새로운 자율적 공간 136
1) 새로운 ‘자율적 공간’의 확대 136
2) 가톨릭교회와 야학운동 141
3) 서울대교구 도시산업사목위원회와 JOC 143
3. 2시기 JOC의 노동자 실태조사와 사례 145
1) 원주교구 JOC의 광산노동자(태백탄전지대) 실태조사 145
2) 버스 안내원 노동자의 실태 조사(69-70)와 심포지움 147
3) 부산 부두 노동자 실태 조사 (JOC 부산연합회, 1972) 150
4. 2시기의 가톨릭교회와 에큐메니칼 운동 151
1) JOC 총재주교와 주교단의 역할 151
2) 노동인권과 주교단 교서 153
3) 신구교 에큐메니칼 운동 154
5. JOC와 한국노총과의 충돌 157
6. 소결 159

Ⅴ. ‘자율적 공간’의 변화와 가톨릭 노동운동의 분화(전반기75-79) 161
1. 린츠회의와 JOC 운동의 분열 161
2. 린츠회의의 ‘분야별 조직’과 한국 JOC의 변화 168
3. 3시기 JOC와 노조운동 171
4. 3시기 JOC 운동과 노동현장 (사례) 172
1) 서울통상의 JOC 회원 해고사태(JOC 서울남부연합회, 1975) 172
2) 인선사의 유령 노동조합 174
3) JOC와 동일방직 노조 174
5. 3시기의 신. 구교 에큐메니칼 운동과 산선과의 갈등 179
1) 신. 구교 연대와 노동운동 179
2) JOC와 산업선교와의 갈등 180
6. 한국노총의 반공이데올로기 공세 185
7. 제도교회와 JOC운동과의 갈등 187
8. 소결 189

Ⅵ. ‘자율적 공간’의 변화와 가톨릭 노동운동의 분화(후반기 80-87) 192
1. 자율적 공간의 확대와 노동사목(Catholic Labor Apostolate) 194
1) 각 지역 노동사목의 확대 194
2) JOC와 CLA(노동사목) 운동의 분화과정 199
3) 노동사목에 참여한 외방선교회 사제와 수도자 200
4) 80년대 초 노동법 개정운동과 가톨릭 노동운동 201
5) 80년대 가톨릭 노동운동단체의 ‘사회조사’활동 사례 202
2. 80년대 가톨릭 노동운동과 독재권력과의 충돌 208
1) 노동사목에 대한 탄압 208
2) 노동현장에 대한 탄압 211
3) 블랙리스트 (Blacklist)와 JOC 212
3. 80년대 가톨릭 노동운동의 현장활동 사례 216
1) 태창섬유 노조탄압과 JOC 활동 216
2) 반공이데올로기 동원한 코리아스파이서의 노조탄압 217
3) JOC 회원에 대한 탄압 사례 218
4. 80년대 가톨릭 노동운동과 교회와의 협력과 갈등 220
1) 주교단의 사목교서 220
2) 가톨릭 노동운동과 국제연대 221
3) 가톨릭 노동운동과 교회연대(사제단. 정의평화위원회) 225
4) 서울대교구 노동사목 위원회와 노동사목과의 관계 227
5) 가톨릭 노동운동과 제도교회와의 갈등 228
5. 가톨릭 노동운동과 정치적 노동운동과의 갈등 231
6. 소결 236

Ⅶ. 가톨릭 노동운동의 ‘사회화’와 교회내의 ‘자율적 공간’의 소멸(87-95) 238
1. 87년 노동자 대투쟁과 노동사목 239
1) 87년 노동자 대투쟁과 노동사목의 역할 (87-95) 239
2) 4시기(87-95) 노동사목 주요 활동 240
3) 노동사목과 전국 노동자 교육 242
4) 자아발견 교육(인간개발교육) 244
5) 노동자 인성교육 247
2. 4시기 가톨릭 노동운동과 교회의 갈등 248
1) 주교회의의 가톨릭 사회운동에 대한 개입과 갈등 248
2) 87년 이후 JOC 운동의 위축 250
3) 서울대교구 노동사목위원회와 노동상담소의 역할 252
4) 교회의 모순- 가톨릭계 사업장 노조와의 충돌(자율적 공간의 한계) 253
(1) 교회사업장의 노사분규 253
(2) 평화신문, 평화방송 노조사태와 교회의 대응(사례) 257
3. 소결 264

Ⅷ. 결론 267
1. 논문의 결론 267
2. 논문의 함의와 한계 274

참고문헌 278

부 록 296

ABSTRACT 31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