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임상현장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안전문화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파악하고 그 관련성을 확인하며, 간호사의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 증진을 위한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2개 종합병원과 1개 대학병원, 대전 소재의 1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4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9월 24일부터 10월 15일까지였다. 주요 변수의 측정에서 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는 AHRQ(2004)의44문항으로 구성된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이금옥(2009)의 환자안전관리 활동 측정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를 이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40점이었으며, 하부영역별로는 사고보고 빈도 영역이 3.80점으로 가장 높고 환자의 안전도 영역이 3.05점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평균 3.89점이었으며, 하부영역별로는 낙상예방 활동 영역이 4.16점으로 가장 높았고 안전한 환경 영역은 3.57점으로 가장 낮았다. 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는 연령(F=3.279, p= .021), 학력(F=3.185, p =. 042), 총 근무 경력(F=2.530, p= .04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26~30세 간호사가 21~25세 간호사보다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지각이 유의하게 낮았다. 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현부서 근무경력(F=3.434, p=.009)과 근무부서(F=3.992, p= .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사후검정 결과 현부서 근무경력 1년 미만 간호사가 5~10년 간호사보다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대한 지각이 유의하게 낮았고,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내과계 병동과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보다 환자 안전관리 활동에 대해 유의하게 낮게 지각하였다. 또한 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활동과 환자안전문화의 하부영역별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r= .26 ~ .43, p< .001)를 보였다. 특히 부서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 영역에서 가장 상관성이 높았다(r= .43, p< .001). 결론적으로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 간에는 순 상관성이 보였으며 그 수준은 보통 이상이나 만족할 만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는 실정이며, 특히 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관리활동 수준보다 낮게 인식하고 있어 안전문화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안전관리활동 중 병원 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관리활동이 상대적으로 미비하고, 의료기관의 시스템 및 환자 안전도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간호사들이 현 근무부서에서 일정 수준의 실무 경력을 축적하여 부서의 특성에 맞는 숙련된 안전관리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근무환경 조성이 선행되어야 하며, 부서와 개인 차원보다는 병원 시스템 차원의 안전문화 고취를 위한 접근이 요구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is a narrative research attempting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management of patient safety through review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activities for patients’ safety which nurses are aware of in work fields. For this study, 405 nurses participated from two general hospitals and one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eoul and one university hospital in Daeje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4th to October 15th 2010.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was a research method used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patients' safety culture perceived by nurses in the hospital. The survey consisted of 44 questions (AHRQ, 2004). For measurement of patients’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nurses, method of Keum-Ok Lee (2009) was modified, supplemented and used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PASW.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erceptions of nurses on patient safety culture were measured using a 5-point scale. The overall mean score was 3.40. The lower ranking accident report frequency had a mean of 3.80, and the safety of patients, 3.05. The degree of patient safety was the lowest. 2. The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as also measured using a five-point scale. The overall mean score was 3.89. The lower ranking fall prevention activities had a mean score of 4.16. Safety environment had a mean of 3.57. 3. This study also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nurse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for patient safety culture. In age (F=3.279, p= .021), education level (F=3.185, p= .042), and overall work experience (F=2.530, p= .040). Scheffe post-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patient safety culture was perceived significantly lower in the 26-30 age group compared to that of the 21-25 age group. 4. The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enure of the recent position (F=3.434, p= .009) and the work department (F=3.992, p=.002). Scheffe post-test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management activities in those who had less than 1 year work experience at recent position than those with 5-10 years working experience. Also, those who work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the ICU and medical ward showed significantly lower results. 5. Management activities, the level of patient safety, and patient safety culture throughout the different loca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r=.26~ .43, p< .001). The working environment showed an especially high correlation(r= .43, p< .001). In conclusion, between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y that nurses are aware of shows positive correlation, the levels are generally over the average, but not be satisfied. Especially, the patient safety culture was perceived lower than management activities so that raise the needs of improvement of safety culture. In hospital, management activities are unprepared to make safety circumstances and also, perception of medical facilities and patients' safety are lower than the average. Therefore, work circumstances has to be provided to nurses who can make trained activities to acquire skillful background in hospital field, hospital needs to inspirate by them self better than approached by one part or individually.

more

목차

국문요지 = ⅰ
차례 = ⅲ
표차례 = ⅴ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4
3. 용어의 정의 = 5
4. 연구의 제한점 = 6
Ⅱ. 문헌고찰 = 7
1. 환자안전문화 = 7
2. 환자안전관리 활동 = 11
Ⅲ. 연구대상 및 방법 = 15
1. 연구설계 = 15
2. 연구대상 = 15
3. 연구도구 = 16
1)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 = 16
2) 환자안전관리 활동 측정도구 = 17
4. 자료수집절차 = 18
5. 자료분석 = 19
Ⅳ. 연구결과 = 20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0
2. 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 = 22
3. 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활동 = 23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대한 지각차이 = 24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지각차이 = 24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는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대한 지각차이 = 26
5.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관리 활동 수준간의 상관관계 = 28
1)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관리 활동 수준간의 상관관계 = 28
2) 일반적 특성과 환자안전관리 활동 수준간의 상관관계 = 29
Ⅴ. 논의 = 30
Ⅵ. 결론 및 제언 = 38
참고문헌 = 41
부록 = 47
Abstract = 59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