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년기의 동화적 이미지를 표현한 섬유조형

Formative Expression of Fairy-Tale Images from Childhood Memories

초록/요약

복잡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풍요로운 문명 속에서 많은 혜택을 누리며 살고 있지만 내면적으로 많은 것이 결핍되어있다. 더 많은 것을 소유할수록 물질에 대한 탐욕은 더 커가고, 결코 채워지지 않는 끝없는 성취욕은 삶을 짓누르는 스트레스로 다가오고 있다. 이와 같은 숨 막히는 경쟁사회 속에서 살다보면 과연 진정한 행복이란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 스스로 질문하지 않을 수 없다. 나이가 들면서 점점 잃게 되는 마음의 여유와 순수함은 아무걱정 없이 천진난만하게 뛰놀던 어린 시절을 갈망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어른들 마음속에 아련히 남아있는 유년기의 '동심(童心)'에서 행복의 답을 찾고자 했다. 본 연구를 통해 유년기의 동화적인 이미지를 조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것만을 추구하다 굳어진 어른들의 마음을 아이들의 자유롭고 환상적인 상상력으로 녹여주고자 한다. 이러한 동심의 회복을 통해 잃어버린 마음의 여유와 순수함을 되찾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접근으로는 발달 심리학자 장피아제(Jean Piaget)와 여러 어린이 글쓰기 교육자와 문학가들의 이론을 토대로 동심의 개념과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근본적으로 대비되는 어른과 어린이의 사유의 특징을 비교분석했다. 더불어 문학, 미술, 영화, 애니메이션 등 여러 장르에서 동심이 표현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동심의 예술표현으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작품의 표현 연구에서는 어린이가 주요 모티브로 표현된 작품들, 익숙한 일상이 동화적인 가상의 공간으로 전환되어 표현된 작품들, 그리고 입체적인 섬유구조물을 만들어낸 작가들의 작품들을 살펴봄으로써 동심의 효과적인 표현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실제 조형작업과 연결하여, 어린이의 시점으로 진행되는 호기심 가득한 공간을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총 9점의 작품을 제작했다. 작품의 주요 표현 모티브는 아이가 어른들의 세상으로부터 탈출하여 은밀하게 숨고자 자신의 상상 속에 지은 은신처(hideaway)이며, 9점의 작품들은 이와 같은 아이들의 비밀공간을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양한 사물로부터 파생된 형태로 시각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캔버스지(canvas), 박스지(cardboard), 나무, 철사, 전구와 같은 다양한 믹스미디어(mixed media)를 작품에 사용함으로써 상상의 공간을 현실의 공간에서 실감나게 표현하기 위한 조형실험을 했다. 더불어, 꿈의 몽환적인 느낌을 극대화하기 위해 부드럽고 투명한 섬유소재인 오간디(organdy)를 입체적인 구조물을 만드는데 사용하여 유년기의 희미하고 불완전한 기억들을 정형화되지 않은 형태의 작품 속에 투영시키는 방법을 실험해보았다. 본 연구자는 작품제작을 위한 영감을 얻기 위해 유년기의 경험에 대한 기억을 되돌려 당시의 꿈과 상상 속에서 마음껏 뛰놀던 소중한 추억들을 되살릴 수 있었다. 고단한 현실 속에서 스스로 한계를 짓고 그 한계를 뛰어넘지 못하는 어른들이 보고 느끼는 답답하고 제한적인 세계보다 마음 한구석에 아련하게 남아있는 동심에서 발견한 세상은 더욱 아름답고 신선했다. 무엇보다 이러한 상상 속으로의 달콤한 시간여행은 많은 시간과 인내가 요구되는 조형작업의 고단함을 놀이와 같은 즐거운 방식으로 풀어나갈 수 있도록 해주었다. 이번 연구를 계기로 본 연구자의 영감의 원천이었던 동심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다질 수 있었고, 향후 조형작업의 방향을 정하는데 커다란 동기부여가 되었다.

more

초록/요약

While living in this complex and prosperous world of civilization, we feel as if we are lacking many things and that our lives are full of starvation. The more we have, the more we seem to want. The unsatisfiable desire for more material wealth and achievements is tormenting our lives with stress. When living in such a suffocating society of endless competition, we cannot help but ask ourselves 'where is true happiness?'. As we become older, we long to go back in time and become the innocent, carefree child once again. This study aims to find the answer to happiness in the childhood cherished in the hearts of every man and woman. Through the formative expressions of free spirited, imaginative and fairy tale-like images that appeal to the child in every one of us, the research hopes to melt the hardened, logical and rational hearts of adults and help them rediscover their lost innocence and carefreeness. On the theoretical front, this research examines the works of Jean Piaget, a developmental psychologist and philosopher, and many others who are known for their studies with education and literature works for children. Based on these studi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a child's mind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at of an adult. Furthermore, numerous cases of literature, arts, films and animations that appeal to the childhood in people's hearts were examined to make the case for an artistic expression of fairy tale-like and fantasy-like world of children that adults long for. To search for suitable expression methods of artwork for the study, art pieces that use children as a key motif, works that transform familiar, everyday surroundings into fantasy-filled, ideal places, and textile pieces with three dimensional structures were examined to explore effective ways to create a world that stir-up the imagination of men and women. Nine pieces of artworks were created as a result of putting the research into practice. The main objective of the pieces was to create spaces as seen from the imaginative, fairy tale-like viewpoint of a child. The key motif used to express this was the concept of a 'hideaway', which the little child uses to escape the harsh realities of grown-ups. All nine pieces focus on creating secret hideouts of the child by using many elements from everyday life. In order to help spectators experience these spaces of imagination with more sense of reality, I experimented with mixed media such as canvas, cardboard and wood, and established three-dimensional structures by putting together flat drawings. In addition, soft and transparent textile material such as 'organdy' was used to accentuate the illusive, incomplete and dream-like aspect of childhood memories. While dwelling in the memories of the past for inspiration, I was able to rediscover many heart-warming memories of my carefree childhood, full of dreams and imagination. This illusive world hidden in the deep depth of one's heart seemed beautiful and fresh compared to the world of adults, where people are frustrated with the barriers and limitations set-up by their own hands. Although the process of creating an art piece requires a lot of time and patience, the sweetness of time traveling to the world of imagination helped me approach this process as if a child was playing a fun game. The world of childhood has always been the source of inspiration for me and this research lay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my artistic viewpoint and also served as a significant motivation for future works. I plan to continue pursuing my career as a formative artist with the innocent eyes of a child and the open heart of an explorer.

more

목차

1. 서론 1
1.1 연구목적 1
1.2 연구방법 및 내용 3
2. 주제의 이론적 연구 4
2.1 동심(童心)에 관한 이론적 연구 4
2.2 예술표현으로서의 동심 9
3. 주제의 표현방법 연구 20
3.1 어린이 모티브의 표현 20
3.2 가상(假想)공간의 표현 25
3.3 입체적인 섬유구조물의 표현 30
4. 작품제작 및 분석 35
4.1 제작의도 35
4.2 제작과정 36
4.3 작품분석 41
5. 결론 71
참고문헌 73
ABSTRACT 7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