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장애이해활동 후 "반성적 사고 저널쓰기"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 유아의 수용적 태도와 형용사 사용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fter Disability Understanding Activities on Non-Disabled Children’s Acceptance Attitude and Using Adjective towa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장애이해활동 후 “반성적 사고 저널쓰기”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수용적 태도와 형용사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 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S유치원 만 5세 2학급으로 유아 각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유치원 일과 중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40분씩 총 12회 6주간 동안 실험집단은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한 후 반성적 사고저널을 활동을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도구는 비장애 유아들의 수용성 태도를 측정하는 수용성 태도 척도와 장애유아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형용사 사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사전·사후검사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장애이해교육을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수용성 태도, 형용사 사용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공 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를 종속변인으로 공변량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애이해활동 후 “반성적 사고 저널쓰기”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수용성 태도 변화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장애이해활동 후 “반성적 사고 저널쓰기”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형용사 사용의 변화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more

초록/요약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 of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fter Disability Understanding Activities on non-disabled children’s Acceptance Attitude and Using Adjective towa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from two classes at a kindergarten in G Metropolitan City. Using free choice activity hours among the daily programs of the kindergarten, we executed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nd then had the subjects to participate in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ctiviti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rough 12 sessions for 6 weeks, 40 minutes per session. We then executed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only for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ame period.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scales on ordinary young children’s Acceptance Attitude and Adjective Checklist. In data analysi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calculated, and ANCOVA was performed using the score of pretest as a covariate and the score of the posttest as a dependent variable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 in Acceptance Attitude and Adjective Checklis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having “reflective thinking journal writing” after disability understanding activiti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scores of Acceptance Attitude and Adjective Checklist after the interv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처리 및 분석
Ⅲ. 연구 결과
1.장애이해활동 후 "반성적 사고 저널쓰기"가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수용적 태도의 차이
2.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형용사 사용에 대한 비교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