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의 시행 현황과 어려움 및 지원요구 : 5개 기관 유형 특수교사 면담을 중심으로

The Present Implementation Statu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Early Intervention for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and Toddlers: Based on the Special Educators' Interview at Five Typed Service Institutions

초록/요약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주요 제공자인 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시행 관련 현황과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찾아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제공기관을 5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기관마다 특수교사 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총 5명의 특수교사와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은 질적 분석을 통해 3개의 범주 하에 총 12개의 주제와 55개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 면담 내용 분석 결과, 첫째, 특수교사는 조기개입 대상 영아의 진단시기가 빨라지고, 그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조기개입의 내용과 방법은 각 기관유형별로 조금씩 다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수교사는 가족기능 진단의 어려움, IFSP 실행지침의 부재, 가족중심 접근의 부족, 팀협력 체계 부족, 부모의 심리적 불안, 부모역할인식의 부족, IFSP 실행을 위한 전문지식과 사전교육의 부족, 제공인력의 부족, 다영역 전문가와의 협력의 부족 등을 조기개입에서의 주요 어려움으로 보고하였다. 셋째, 조기개입을 위해 부모심리정서지원, 가정 내 양육기술지원, 제공기관 확대, 제공자의 부모 지원 역량 강화, 현직연수, 조기개입 실행지침 제공, 다영역 전문가 배치, 가족중심 강화 등을 요구하였다. 결론 :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사가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의 효과적 수행하기 위해 시급히 실현되어야 하는 주요 다섯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implementation status,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early intervention for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and toddlers by special educators' individual interviewing. Method: A total of five special educators who were working at five different types of early intervention institutions were interviewe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for transcription and analysed using a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revealed 12 themes and 55 sub-themes under three categories. Special educators replied that the diagnosis period was getting earlier, the number of developmental delayed infants and toddlers were increasing, and the contents and strategies of early intervention varied by types of facilities. The difficulties of functional assessment, IFSP implementation practices, family-centered approach, parents’ emotional problem and lack of parenting-role recognition, education opportunities of interventionist,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etc. were reported.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five desirable directions in establishing the implication frame of early intervention for special educators.

mo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절차
3. 자료 분석
4. 연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확보
Ⅲ. 연구 결과
1. 조기개입 시행 현황
2. 조기개입 시행의 어려움
3. 조기개입 시행을 위한 지원요구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국문초록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