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사회과 예비교사의 한국어(KSL)-사회과 교수효능감 영향 요인 연구

KSL-Social Studies Teaching Efficacy of Social Studies Preservice Teacher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사회과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 및 한국어(KSL)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수준과 한국어(KSL)-사회과 교수효능감을 파악하고, 한국어(KSL)-사회과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다문화 배경 학생의 학교 생활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2012년 고시된 한국어(KSL) 교육과정은 다문화 배경 학생들의 일상에서부터 학습에까지 요구되는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에 관한 교수학습 원리 및 지침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 학생의 학습 능력 신장을 목적으로 한국어(KSL) 교육과 교과교육의 연계성에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은 긍정적이나 다문화교육 현장과 관련한 직접적인 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한국어(KSL)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나 이중·제2언어와 교과교육을 연계하는 다문화 교사교육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사회과 예비교사의 한국어(KSL)-사회과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한국어(KSL)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사회과 세부전공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한국어(KSL)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수준이 한국어(KSL)-사회과 교수효능감을 높이는데 주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