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퀴어 소설에 나타난 가족 갈등 연구

초록/요약

지금까지 퀴어 소설은 동성애와 동성애자를 향한 무차별적인 차별과 혐오에 대해서 서사화 되고 독해되어 왔다. 그러나 박상영의 소설은 비가시적인 영역인 가족 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의 구조를 보여주고 이를 성찰하게 한다. ‘엄마’는 자식의 동성애를 직접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사실을 외면하고 무시함으로써 표면적으로 갈등은 드러나지 않고 은폐된다. 그러나 성소수자에 대한 ‘엄마’의 자발적인 무지(無知)는 ‘나’의 동성애를 병리적인 질환으로 범주화하였고, 그에 따라 ‘나’는 병리적인 질환을 가진 ‘환자’로 명명되어 외부와 강제적으로 차단되고 감금된다. 성소수자는 타인과의 관계에서의 어려움보다 가족 관계에서의 고통을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이는데, 가족과의 마찰이 반복되거나 지속되는 경우 대응의 포기하고 대화를 회피함으로써 관계 개선의 여지를 남기지 않는다. 묻지 않는 ‘엄마’와 말할 수 없는 ‘나’ 사이의 소통의 단절은 가족 간의 갈등 해소가 요원한 일임을 보여준다. 이로써 ‘나’의 ‘이야기’는 서사화 되지 못 하고 성적 주체로서 ‘나’의 정체성은 결락(缺落)되어 구성된다. 회귀된 ‘나’의 일기는 성소수자로서의 ‘나’의 정체를 증명하는 것이면서도 동시에 교정되어 돌아왔다는 점에서 ‘나’의 서사적 정체성이 무차별적인 왜곡과 차별적인 인식으로 인해 온전하게 구성될 수 없는 것임 증명한다. 또한 ‘나’와 ‘엄마’는 오로지 침묵으로써 서로의 존재를 확인한다는 점에서 ‘나’와 ‘엄마’와의 상호 정동 교환의 실패 및 갈등 해소를 통한 관계 회복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