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에 대한 질적 탐색 - 학습 생애사적 접근의 내러티브 인터뷰와 질적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Qualitative Exploration of Language Literacy Patterns of North Korean Defector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Narrative Interviews of Learning life-history Approach and Analysis of Qualitative Content

초록/요약

이 연구에서는 학습생애사적 접근의 내러티브 인터뷰와 텍스트 분석 기법으로서의 질 적 내용 분석에 기반해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 분석을 위한 학습생애사적 접근의 의의를 살핀 이후에, 3장에서는 서울 소재 A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탈북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과 내러티브 인터뷰, 보충 설문을 바탕으로 학습생애사 결과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4장에서는 질적 내용 분석 기반의 언어 문식성 양상 결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3장의 탈북 대학생의 학습생애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 대학생의 삶과 학습을 포착하는 개념으로 1) 인지적 차원과 2) 정의적 차원을 구분하여 유형화하였다. 둘째, 인지적 차원에서는 (1) 북한에서의 학교 교육 경험 정도, (2) 타국 경유 기간, (3) 경유 국가에서의 학습 경험 여부, (4) 남한에서의 초중고 학교 교육 경험 여부의 4가지 주제어를 도출하여 연구 결과를 구성하였다. 셋째, 정의적 차원에서는 (1) 북한 사투리로 인한 남한 대학 내 글쓰기 평가 감점 경험, (2) 남한 사회 적응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 (3) 가족과의 동반 여부라는 3개의 주제어를 도출해 연구 결과를 구성하였다. 4장에서는 질적 내용 분석 기반의 언어 문식성 양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 분석은 우선 1) 남한의 대학생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보편적인 언어 문식성 문제와 2) ‘탈북’ 대학생이라는 특수 변인에 따른 언어 문식성 특성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남한의 대학생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보편적 차원의 언어 문식성 문제로는 1) 개요 짜기 능력이 미비한 경우, 2) 자기 생각이나 주장을 드러내지 못하는 경우, 3) 서론-본론-결론의 3단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를 제시하였다. 셋째, 탈북 대학생이라는 특수 변인에 따른 언어 문식성 특성으로는 1) 남북한 교과 전문 용어 차이로 인한 어려움, 2) 문학 독서 경험의 차이로 인한 문학 소양의 차이, 3) 북한의 사회 체제 특성으로 인한 비판적 성향의 글쓰기 문화를 제시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