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전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의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Quality of Life of Korea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fferences among the Subgroups according to the Adults’ Background Variables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신뢰롭고 타당한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여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의 전체 및 하위요인 수준을 제시하고 발달장애성인의 배경변인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의 차이 분석과 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국 5개 권역별 발달장애인 인구비율에 따라 층화표집을 시도하여 실제 회수된 자료를 통해 총 407명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2019년에 새롭게 개발 및 타당화된 “한국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척도”(QLS-KADD, 박승희 외, 2019)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삶의 질 전체 점수와 4가지 하위요인 및 32개 문항 점수를 산출한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전체 평균은 5점 척도에서 3.32로 보통 수준으로 긍정적 수준에는 못 미쳤다. 4개 하위요인 점수도 3점대 보통 수준인데, 안전한 환경, 사회적 참여지원, 신체적 안녕, 개인적 역량 순으로 높게 나와서 개인적 역량의 수준이 가장 낮았다. 발달장애성인의 배경변인 총 14개 중 11가지에서(예: 장애정도, 거주환경, 고용형태, 친구 수, 직업 외 참여 프로그램 수 등) 하위집단별로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전국에서 표집된 발달장애성인 407명에 대해 처음으로 신뢰롭고 타당한 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여 삶의 질의 수준을 측정 및 배경변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와 그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 결과는 국내 발달장애성인의 삶의 질 수준의 현재 상황을 점검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위한 각종 서비스와 교육 및 지원 체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기존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새로운 프로그램의 창안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의의가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overall and four-factor levels of quality of life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DD) in Korea, and th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A total of 407 adults with DD drawn from 5 different geographical regions of Korea were measured by proxy reports and analyzed. The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 Adults with DD(QLS-KADD)(Park et al., 2019) was employe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The scale consists of 32 items that yields the overall score as well as the scores for the four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average level of quality of life of the adults with DD was 3.32 on a 5 point scale, which was not a positive level. Also, the scores of the 4 factors were in the 3-point range, and the results, ranked in descending order, were as follows: ‘secure environment’, ‘supports for social participation’, ‘physical wellbeing’, and ‘personal competenc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of subgroups according to the eleven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disability severity, residential environment, employment type, number of friends, number of participating programs(apart from their jobs), etc.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quality of life of 407 adults with DD measured with QLS-KADD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irst examined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of Korean adults with DD nationwide and provide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support system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adults with DD, and suggested directions and priorities for improving the services and support systems for adults with D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