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및 쓰기에 나타나는 한국어 연음규칙 적용 특성과 부모의 한국어 능력과의 상관연구

Characteristics of Korean Liaison Rule in the Reading and Writing of Children of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Correlation With Mothers' Korean Abilities

초록/요약

목적 : 한국어에서 음운규칙을 적용하여 읽고 쓰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며 그 중 연음규칙은 5, 6세부터 발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아동의 연음규칙 적용 능력을 고찰하고, 이 능력이 아동의 음운처리능력 및 어머니의 연음규칙 적용 능력과의 상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의 아동 10명과 어머니 6명, 한국 단일언어가정의 아동 1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아동은 모두 초등학교 1, 2학년으로 구성되었다. 아동과 어머니 모두 한국어 연음규칙을 적용한 읽기 및 쓰기 과제를 실시하였고, 두 아동집단 모두 음운처리과제를 수행하였다. 결과 :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아동은 한국어 연음규칙을 적용한 읽기 및 쓰기에서 한국 단일언어가정 아동보다 유의하게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두 아동 집단 모두 읽기 및 쓰기과제의 무의미 및 겹받침 조건에서 유의하게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특히,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아동은 목표단어의 문장 내 위치가 후반부일 때 유의하게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한국 단일언어가정 아동은 읽기/쓰기와 음운 조작 능력 및 비단어 따라 말하기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은 읽기 및 쓰기와 비단어 역순 따라 말하기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어머니의 홑받침 읽기 및 쓰기와도 상관이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이 한국어의 특징적인 연음규칙 읽기 및 쓰기에 보이는 어려움을 밝힘으로써 이에 대한 중재의 방향 및 필요성과 아동의 언어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다문화가정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applying Korean Liaison rules in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children and Korean monolingual children. It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 applying Korean liaison rules in reading and writing between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children and their mothers. Method: Sixteen members of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10 children and 6 mothers) and 13 Korean monolingual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on vocabulary test scores and PCC. The study used the reading and writing tasks applying Korean Liaison rules and phonological processing tasks. Results: K-V multicultural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on the reading and writing tasks applying Korean Liaison rules than Korean monolingual children. Both childre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on the meaningless words and double consonant condition. Especially, the K-V children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on the second half condition than first half condition. The K group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reading/writing and PA/NRT, whereas the K-V group showed correlation only with NRT_B. The K-V multicultural children group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ir mothers’ performance in reading and writing of final consonan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directions and needs to the intervention for multicultural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applying Korean Liaison rules in reading and writing and interest in parent education of multicultural mothers that affect the language of childre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