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시선추적장치(Eye-tracker)를 활용한 한·중 텍스트 읽기 양상 분석 연구: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Analyzing text reading patterns in Korean and Chinese using by eye-trackers : Focusing on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하여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L1읽기와 L2읽기에서의 읽기 양상 및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어 읽기 교육의 경험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며 Irwin(2006)에서 제시한 독해 과정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둔다. 이에 학습자 10명을 대상으로 모국어 텍스트 읽기와 제2언어 텍스트 읽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시선의 움직임이 나타나는지, 또한 읽기 과정에서 어떠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언어(텍스트)별에 따른 읽기 과정의 특성에서 미시과정(micro process)의 차이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해독(decoding) 중심의 읽기를 수행하면서 통사적 단서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또한 읽기 횟수의 목적에 따라 읽기 특성도 달라지며 그에 따른 읽기 전략 사용에 있어 주목할 만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L1읽기에서 1회(훑어 읽기)-2회(가려읽기)의 과정이 이루어지지만, L2읽기에서는 1회(훑어 읽기)-2회(꼼꼼하게 읽기)-3회 이상(꼼꼼하게 읽기 또는 가려읽기)으로 진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전자는 주로 하향식 전략을 사용하고 있고, 후자는 주로 상향식 전략에 초점을 둔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gnitive assessment elements of multimodal text reading. For this, framework of the existing digital literacy and media literacy test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ums in depth to examine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reading of multimodal text.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we have prepared a cognitive assessment element for reading of multimodal text. The assessment elements corresponding to 'literal comprehension' were presented as 'navigate' and 'identify of contents', and the assessment elements corresponding to 'inferential comprehension' were presented as 'integration and relationship making' and 'sophistication and interpretation'. Lastly, as elements of 'critical comprehension', 'evaluation' and 'redesign' are presented as sub-elements. In addition, the content of each assessment element was prepared in the ‘mode-text-context’ to attempt to systematize the cognitive assessment element of multi-form text reading.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