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이민자에 대한 조선 사회의 태도와 그 반응-명 유민(遺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Displaced Persons of Ming(明) in the Joseon Dynasty

초록/요약

이 글은 명 유민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기록과 유민의 후손이 기록한 것을 통해 명 유민의 재현 양상, 명 유민에 대한 조선사회의 태도를 살펴본 것이다. 조선초기부터 일본을 비롯해 외국에서 귀화한 이민자의 숫자가 적지 않았으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명에서 온 이민자들이 급격히 늘어났다. 이들은 대부분 임진왜란 때 명나라 원군으로 조선에 온 장병의 후손이거나 반청복명(反淸復明)을 위해 조선으로 온 사람들, 혹은 명의 멸망 이후 요동지역 등으로부터 유입된 유민들이었다. 조선인들은 이들을 황조인(皇朝人) 또는 황조유민(皇朝遺民)이라 명명하고 존주론에 입각해서 이들을 대하고 관직을 하사했으며 이들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명 유민은 조선 사대부의 인정을 받거나 사대부 사회에 끼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그 예로 강세작과 굴저에 대한 재현 양상을 들고 이들이 처한 언어 문제가 명 유민의 위치를 의미심장하게 드러낸다고 보았다. 강세작은 언어를 제대로 소통하지 못 하고 굴저는 자신이 이름이 제대로 불리지 못했다. 강세작은 중국어도 잊어버리고 조선어는 제대로 배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문은 구사할 수 있었지만 이전의 모국어와 새로운 모국어 사이에서 말을 잃어버린 강세작은 언어의 경계에 위치해 있었고, 이는 경계에 처한 그의 삶을 그대로 보여준다. 이 경계에서 강세작은 주체로서의 삶을 살았다고 하기 어렵다. 자신의 본래 이름을 잃어버린 채 비슷한 이름으로 불린 굴저 역시 주체로서의 삶을 살았다고 보기 어렵다. 강세작, 굴저와 달리 명 유민들은 경제적으로도 곤궁하고 중인 정도의 대우를 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명 유민의 후손에 의한 명 유민의 전이 기록되었는데 이를 조선 지식인의 명 유민 서사에 대한 명 유민의 대항서사로 보았다. 그러나 명 유민의 서사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강화함으로써 안과 밖의 경계를 더욱 강화하는 것이었다.

more

초록/요약

This article examines how migrants from Ming(明) were treated and represented in Joseon Dynasty through the records of them which had been written by the Joseon intellectuals and the descendants of migrants in that period. Though the number of immigrants who came from other countries like Japan and became naturalized was not small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immigrants rapidly increased. Most of them were descendants of the Ming soldiers who came to Joseon as supporters during the Imjin War, or people who came because they disobeyed Ching or displaced persons from Yodong area after the fall of Ming. The Joseon people named them Hwangjoin or Hwangjoumin, and treated them with respect based on the theory of Jonjou(尊周). These people were even allowed to serve public service and the Joseon Dynasty left records of them. But the displaced persons from Ming were not recognized by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failed to engage in the upper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representations of Kang Se-jak(康世爵) and Guljeo(屈姐) and the language problems they had faced significantly revealed the location of displaced persons from Ming. Kang Se-jak could not properly communicate in the Korean language, and Guljeo herself was not rightly named. Kang Se-jak could not learn the Korean language while he forgot the Chinese language. Though he was able to write the Chinese, he couldn’t speak any language properly between the old native language and the new language. This situation showed his location at the border of the language, and the life on the border. Considering this, we can't say that Kang Se-jak lived a life as a subject. Guljeo, losing his original name and called by a similar name, also couldn’t live a life as a subject. Some other displaced persons from Ming besides Kang Se-jak and Guljeo were found to be positioned as middle though they were economically needy. In this situation, some descendants of the displaced persons from Ming tried writing records of their forefathers’ stories of immigration and settlement. These records were regarded by Joseon intellectuals as the counter-narrative about the displaced persons from Ming against those which were written by Joseon intellectuals. But ironically, the narrative by the descendants from Ming’s migrants was only to strengthen the boundary between inside and outside by focusing on their own identi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