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반추 및 반성과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 및 조절효과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between Brooding, Reflection and Depre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내부초점적 반응양식인 반추 및 반성의 구별된 성격을 규명하고, 해당 변인들이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마음챙김의 주된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마음챙김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도권 내 4년제 대학 학부생 292명을 대상으로 우울감정에 대한 반응양식, 마음챙김, 우울,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실시하였으며, 이상값을 제외한 278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각 변인들 간 관계는 상관분석을 통해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반추 및 반성과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과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 및 조절효과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마음챙김은 반추와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반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추와 우울의 관계에서는 마음챙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여 마음챙김 수준이 높을수록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두 모형의 비교결과, 마음챙김은 조절효과보다 매개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가 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반추 및 반성이 심리적 건강에 이르는 과정에서 기저의 변화과정을 야기하는 마음챙김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특히 모호한 반성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more

초록/요약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mediating and regulating effects of mindfulness to identify the distinct character of the brooding and reflection of internal focal reaction, and to identify the main role of mindfulness in the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variables leading to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ata were obtained from university students(n=278) who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such as the Ruminative Response Scale(RRS),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Scale-Revised(CAMS-R),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K-CESD-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as confirmed by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ed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of self-focused response style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pecifically, mindful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brooding and depression as well a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fle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there was a tendency the relationship between brooding and depression is moderated by mindfulness. And so, the higher mindfulness buffers the relationship between brooding and depression.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models, the mindfulness was mainly observed in the mediation effect rather than in the moderation effect. Through this research, the role of mindfulness that causes the process of base change in the process of brooding and reflection leading to psychological health was identified, and especially the character of ambiguous reflection was identified. Lastly, som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suggest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