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의 사교육시간과 독서시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습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rivate Education Time and Reading Time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Habits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사교육시간과 독서시간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학습습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3차년도 자료의 총 2,219명 6학년 초등학생이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사교육시간과 독서시간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사교육시간과 독서시간이 학습습관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성취에 있어 학습습관의 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학습습관을 통한 간접효과는 사교육시간보다 독서시간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습관을 통한 간접효과에 있어 독서시간이 사교육시간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를 위해서는 독서시간의 활용이 의미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청소년복지의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time and reading tim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habits in these relationships. Participants were 2,219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3rd wave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private education time and reading tim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t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time and reading time on learning habits, and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habits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reading time had a greater impact than private education time in indirect effects through learning habits. It implies that reading time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youth welfa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