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가정위탁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낙인감과 우울⋅불안의 이중매개효과-

The Child-Rearing Attitudes of Foster Parents and Mobile Phone Dependence among Foster Children: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Stigma and Depression/Anxiety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위탁부모의 양육태도가 위탁아동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경로에서 아동의 낙인감과 우울⋅불안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대상으로 2019 가정위탁아동 패널연구에 참여한 아동 305명 중 휴대폰을 소지하거나 사용하고 있는 240명이포함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우선, 위탁부모의 긍정적그리고 부정적 양육태도 모두 아동 휴대전화 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위탁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아동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낙인감과 우울⋅불안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나타났다. 하지만 부정적 양육태도의 휴대전화 의존에 대한 영향에서는 낙인감과 우울⋅불안 모두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위탁아동의 휴대전화 의존을 감소시키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에대해 논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child-rearing attitudes of foster parents on foster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e and also to verify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stigma and depression/anxiety. Out of 350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Foster Care Children Panel Study of 2019」, we analyzed the data of 240 children using their own mobile phones. The results of the study utili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as follows: First, both foster parents’ positive and negative child-rearing attitudes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e among foster children. Second, stigma and depression/anxiety showed significant dual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ttitude and mobile phone dependence. Last, the indirect effects of stigma and depression/anxiety were revealed insignificant to link between negative attitudes and mobile phone dependence. Based on the results, the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to facilitate positive child-rearing attitudes for foster parents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