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교통카드 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고령인구 주요 체류지 및 체류지별 특성

Analysis of Elderly Population’s Staying Places in Seoul using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초록/요약

본 연구는 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고령인구의 주요 체류 공간을 도출하고 체류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5년 10월 18일까지 7일간의 서울시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도심지, 강남 등 14개 지역이 주 체류 공간으로 추출되었으며, 각 체류지별 방문 사용자 특성과 체류 시간대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5개 그룹으로 특성이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류지 대부분은 해당 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고령 인구가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많은 고령 인구가 방문하는 그룹의 경우 상대적으로 방문 고령자의 거주지가 넓게 나타나 체류지간 위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류 집중 시간대는 주로 오전 10시에서 오후 5시 사이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기동과 영등포의 경우 오후 12부터 체류가 집중되며, 잠실, 선릉, 양재의 경우 주중 오전 9시부터 체류가 집중되어 체류지별 인구 집중 시간이 상이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서울시 내의 고령 인구의 주요 체류 공간과 각 체류 공간별 체류 특성을 고려한 대중교통정책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staying places by deriving the main staying places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Seoul using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For this reason, we used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for 7 days from October 12, 2015 to October 18, 201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4 places were extracted as the main staying places. It was divided into 5 group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iting users and concentration time. Most of the staying places showed that the elderly users who lived near the places visited, but in the case of the group where a large number of elderly users visited had relatively wide range of residential distribu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hierarchy. And the concentration time was displayed differently. Most of the staying places’ concentration time was between 10 am and 5 pm. However, in the case of Jegi-dong group and Jamsil group had different concentration tim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necessary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a public transport policy that considers the main stay spaces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Seoul and the stay characteristics of each stay spa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