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VR 애니메이션의 효과적인 영상 연출방법 분석 연구

A Study on Effective Directing of VR Animation

초록/요약

Nowadays VR(Virtual Reality) video contents need, beyond the simple technical reconstruction, an emotional approach that can lead to viewer’s perceived immersion. Video directing is an effective tool for narrative delivery, but it can also be the best tool for delivery of emotions. For the full application of the long-established video grammar to VR, the research has for purposes to study the directing techniques of theatre and exhibitions in real space and to find the ways of using them for the enhancement of VR animation directing techniques. The research method was as follows: we proceeded a literature survey about the directing techniques of theatre and exhibition and extracted the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VR animation instead of the existing video techniques, and then by comparing the VR version of the short animation <Crow: The Legend> with its HD version, we analyzed the results to verify whether the extracted directing elements were actually applied. In a VR animation, the sequence-centered structure connecting one space to another is essential. The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shows that major space-related elements in theatre and exhibition directing are the techniques that realize the size of the shot and the camera focus effect using size adjustment of environment space and character, and placement of layers, and layout of continuous movement, and the technique of connecting the sequences using scene transitions. We did a comparative analysis of VR and HD versions of the animation <Crow: The Legend> and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ize, density and character arrangement of the background objects according to the size differences of background space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change the length of the scene transitions, introduced at each space transition, according to the emotional stages of the narrative. It is also found that the height and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characters should be arranged considering the camera’s eye level so that viewers can understand the characters’ situations. In case the viewers have difficulty to figure them out at once, it may be possible to consider moving the camera’s position. 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VR animation produced with proper space directing has higher chance of delivering intended emotions to the view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from the initial steps of production, to make VR animation with proper consideration of the elements such as the environment space, the location and movement of cameras, and the movement and placement of characters.

more

초록/요약

VR를 기반으로 한 영상 콘텐츠는 이제 단순한 기술적 재현에서 더 나아가 인간의 정서적 몰입을 끌어낼 수있는 감성적 접근이 필요하다. 영상의 연출은 서사 전달의 효율적 도구일 뿐만 아니라 감성의 전달을 위한 최고의 도구이기도 하다. 오랜 기간 강화되어온 영상 연출 문법을 VR에서도 최대한 적용하기 위해 실제 공간을 기반으로 하는 연극과 전시의 연출기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VR 애니메이션 연출의 확장 방안을 찾아보기 위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연구 방법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연극과 전시의 연출기법들 중 기존영상의 연출기법들을 대체하여 VR 애니메이션에 적용 가능한 연출 요소들을 추출한 뒤, 단편 애니메이션인 <크로우: 더 레전드(Crow: The Legend)>의 VR 버전과 일반 HD 버전 애니메이션을 비교하여 앞서 추출한 연출요소들이 적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VR 애니메이션은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는 시퀀스 중심의 구성이 필수이다. 선행연구의 연극과 전시 연출을 살펴본 결과, 배경 공간과 캐릭터의 크기 조절과 층위 배치, 연속적인 동선배치를 통해 숏의 크기와 카메라 초점 효과를 구현하고 장면 전환을 이용해 시퀀스를 연결하는 기법 등을 찾아볼수 있었다. <크로우: 더 레전드)>의 VR와 HD 애니메이션을 분석한 연구 결과, 실제로 배경 공간들의 크기 차이에 따라 배경 오브젝트들의 크기, 밀도와 캐릭터 배치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공간 전환마다 삽입한 장면 전환의 길이는 스토리의 정서적 단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더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캐릭터들의 주요 동선의 높이와 방향을 카메라의 눈높이를 고려하여 배치해야 시청자가 캐릭터들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을알 수 있었다. 한 번에 파악하기 힘든 경우에는 카메라의 위치 이동 역시 고려해볼 수 있다. 이처럼 VR 애니메이션에 맞는 적절한 연출이 함께할 경우 더욱 효과적인 전달이 가능할 것이며 이를 위해 제작단계에서부터 VR 환경에 맞는 배경 공간, 카메라의 위치와 움직임, 캐릭터의 동선과 배치 등을 고려한 제작이 필요하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