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잠재유형에 따른 행복감 차이: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의 비교를 중심으로

Difference in Happiness among Latent Grou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ess: Focusing on Regional Differences

초록/요약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트레스를 잠재유형으로 분류해보고, 분류된 잠재유형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대도시, 중소도시, 농산어촌 지역 간 차이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데이터 초등학생 4학년에서 6학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초등학생의 스트레스를 잠재유형으로 분류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 스트레스 잠재유형은 ‘낮은 스트레스 유형’, ‘중간 스트레스 유형’, ‘낮은 친구 스트레스 유형’, ‘높은 스트레스 유형’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지역에 따른 초등학생의 행복감은 대도시 지역이 가장 높았고, 중소도시 지역, 농산어촌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잠재유형에 따른 초등학생 행복감은 ‘낮은 스트레스 유형’이 가장 높았고, ‘낮은 친구 스트레스 유형’, ‘중간 스트레스 유형’, ‘높은 스트레스 유형’의 순서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낮은 친구 스트레스 유형’은 ‘중간 스트레스 유형’, ‘높은 스트레스 유형’ 보다 행복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 행복감에 대한 지역별, 스트레스 잠재유형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지역별, 스트레스 잠재유형별 주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지역과 스트레스 잠재유형의 상호작용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스트레스 잠재유형에 따른 행복감 차이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초등학생들은 어느 지역에 거주하든 높은 스트레스 유형은 가장 행복감이 낮고, 낮은 스트레스 유형은 행복감이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별 스트레스 잠재유형과 행복감 간의 관계를 토대로 함의를 제시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atent grou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ess as well as verify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groups and happiness among large, small, and medium cities and rural village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data on fourth to sixth graders from the 2018 Korean Child Well-being Index Survey. This study conducted latent profile analysis in order to classify latent grou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found four latent grou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ess: low-level stress, middle-level stress, low-level friendship stress, and high-level stress. Second, happiness level was highes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arge cities, followed by small and medium cities and rural villages. Thir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ppiness by latent group, the low-level stress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happiness, followed by the low-level friendship stress group, middle-level stress group, and high-level stress group. In particular, happiness level of the low-level friendship stress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middle-level stress group and high-level stress group. Fourth, examination of the differences in elementary students’ happiness levels by region and latent group proved that the main effect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y both region and latent group. The interaction between regions and latent groups of stress, howeve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This suggests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happiness among latent groups by region. Indeed, regardless of region, the high-level stress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of happiness while the low-level stress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Lastly, this study suggests social welfar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latent groups of stress by reg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