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학령 전기 아동의 처리 용량 및 처리 속도와 그림책 이야기 이해력 및 안구 움직임 패턴 간 상관관계 연구

Correlation Analysis on the Preschoolers’ Processing Capacity, Processing Speed, Story Comprehension Performance, and the Eye Movement Patterns

초록/요약

목적: 본 연구는 그림책 읽기 과정에서 학령 전기 아동이 보이는 안구 움직임 패턴과 언어 기저 능력인 처리 용량 및 속도, 그리고 그림책 읽기 이후 아동의 이야기 이해 수행력 간 관계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에는 만 4-6세 학령 전기 일반 아동 22명이 참여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는 처리 용량 측정 과제인 MATRIX, 처리 속도 측정 과제인 RAN, 그리고 그림책 읽기 과제에 참여하였으며 시선추적기가 부착된 컴퓨터를 활용하여 그림책을 제시한 이후, 사실적 및 추론적 정보 이해 질문을 활용하여 아동의 이야기 이해 수행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학령 전기 아동의 처리 용량 과제 수행력과 추론적 정보 이해 질문에 대한 수행력 간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하였으며, 처리 속도 과제의 수행력과 사실적 정보 이해 질문 및 추론적 정보 이해 질문이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이야기 이해 질문 유형 중 추론적 정보 이해 질문에 대한 수행력과 시선추적기 분석 변수인 평균 시선 고정 시간 간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처리 용량 과제의 수행력은 시선추적기 변수 중 어떠한 것과도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처리 속도 과제의 수행력은 시선 고정 시간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그림책 읽기 활동 시에 아동의 표면적 언어 발달 능력 뿐 아니라 언어 기저 능력 또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성인은 언어발달지연 아동과 같이 언어 기저 능력이 지연된 아동과 책 읽기 상호작용을 실시할 때, 제시하는 언어적 자극의 양과 속도를 조절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ers’ eye movement patterns,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processing capacity and processing speed), and story comprehension performance in picture book reading. Methods: Twenty-two prescho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cessing capacity task (matrix) and processing speed task (RAN). In order to analyze eye movement patterns, picture books were presented through a monitor attached to an eye-tracker. All children were given 12 story comprehension questions (six literal questions and six inferential questions) after reading the picture book.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atrix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scores. In addition, RA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oth liter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scores.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tory comprehension score and the eye-tracking variables resulted i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ferential question score and the average fixation duration. La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trix with any eye-tracking variables. However, RA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fixation duration. Conclusions: In educational and clinical settings, only the language ability and current language developmental level of the child tends to be taken into account when conducting shared book reading activities. However, children’s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such as processing capacity must also be considered in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as they may be strongly connected with children’s performance on language learning.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