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초등학생의 어휘지식 수준에 따른 파생어 형태인식 발달 연구

Morphological Awareness on Derivational Affixes in Accordance With Vocabulary Knowledge in School-Age ChildrenCopyright 2020 ⓒ Korean Speech-Language & Hearing Association.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초록/요약

목적: 형태인식(morpholgical awareness)이란 추론기술이 요구되는 메타언어적 요소로서 단어 내 형태소의 의미와 구조를 인지하고 의식적으로 조작하는 능력을 가리킨다. 형태소는 의미의 최소단위이자 자연스러운 언어의 경계로서 어휘의 질적 깊이를 측정하는 과제의 하나로 탐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형태인식이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어떠한 발달적 추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어휘지식의 양적 수준에 따라 저학년과 고학년 아동의 형태인식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탐색하는데 있었다. 방법: 분석대상은 연구에서 제시한 선정기준에 맞는 초등 1학년에서 4학년 아동 246명이었다. 1학년과 2학년은 저학년, 3학년과 4학년을 중학년으로 구분하였고, 두 학년 집단에게 어휘력 검사와 파생어 형태인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어휘력검사 점수 결과를 기초로 미숙한 어휘수준, 평균 어휘수준, 높은 어휘수준의 세 수준으로 나누어 그 결과를 이원배치분산분석으로 처리하였으며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두 학년 집단 간 형태인식 검사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어휘 수준에 따른 차이도 역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어휘 수준에 따른 파생어 형태인식의 차이에 관한 사후분석 결과 미숙한 어휘 수준을 보인 아동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형태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파생어 형태인식의 꾸준한 발달에 관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유사하였고, 저학년과 중학년 집단 모두에서 미숙한 어휘 능력을 지닌 아동이 부정확한 형태론적 지식, 추론 및 조작능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more

초록/요약

Purpose: Morphological awareness, a meta-linguistic awareness, refers to the ability to reflect on and consciously manipulate morphemes and word formation rules. Most studies deal with morphological awareness as one of the measurements of vocabulary dep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derivational morphological awareness throughout grad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different vocabulary levels. Method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46 first- through fourth-grade typically-developing children.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ade groups: the lower grade group (1st and 2nd grades) and the middle grade group (3rd and 4th grades). The two groups performed derivational morphological awareness tasks and receptive vocabulary tasks. According to the vocabulary scores, each grade group was also divided into three level: low, medium, and high. Two-way ANOVA and post hoc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z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growth of morphological awareness throughout grade groups and between vocabulary levels.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between low and high level and between low and medium level. Further results indicated that low vocabulary knowledge could be related to meaningfully inferior skills in morphological awarenes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would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vocabulary acquisition and eventually to literacy skills.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language-focused interventions and suggest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might be a important point of such intervent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