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김찬삼의 세계일주여행기 - 사잇존재 지리여행가가 세상을 읽고 표현하는 방식 -

Chan-sam Kim’s Books of the Travel around the World – How to Deal with the World by a Modern In-between Traveller –

초록/요약

20세기 중후반 한국의 격동기를 풍미했던 김찬삼의 세계일주여행기는 한국인들의 세계인식 지평 확대에 크게 공헌했다. 이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최근 문예비평계와 관광학계에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정작 그의 학문적토대였던 지리학계에서는 이 여행기가 분명한 ‘지리’여행기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이렇다 할 연구가 없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가 명시적으로 제시한 여행의 목적, 즉 ‘지리학 탐구’와 ‘인간 수업’이 그의 여행기에서 어떤 관점과 방식으로 실천되었는지, 그리고 결국 한국의 대중들을 어떻게 매료시킬 수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개발도상국 출신 엘리트층 지리학자이자 황인종 여행가였던 김찬삼은, 근대성의 이분법 질서의 중간에 놓인 사잇존재로서, 이에 기반한양가적 사고와 태도를 견지한다. 그에게 인종주의적 세계질서는 문화진화론의 지역적 결과물이었고, 그러한 진화론적 경계긋기의 바탕 위에서, 모든 인간의 내면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휴머니즘을 확인하고 확산시키기 위해 스스로의 여행을 실천했고, 그러한 여행을 독자들에게도 독려했다. 또 다른 목적이었던 ‘지리학 탐구’는 주로 자연환경에 대한 과학적이면서도 미학적인 관찰과 묘사, 그리고 환경결정론 사조에 입각한 자연환경-인간 관계에 대한 탐구로 구성되었다. 천연의 자연환경과 그 속의 무구한 토착민들을 한 묶음으로 대상화하여 높은 곳에서 전체를 조망하는 ‘숭고한 조망점’, ‘조감도의 시선’을 중시하였고, 이에 대한 과학적 지식과 미학적 감상을 섞어내는 서사 방식으로 대중들의 관심을 증폭시켰다. 또한 여성을 자연과 등치시키고 미학적으로 대상화하는 미학적 남성중심주의의서사 방식도 당대 가부장적 한국사회를 자극하면서 결국 대중적 판타지로도 자리잡는데 한몫하게 된다.

more

초록/요약

Chan-sam Kim’s books on the travel around the worl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Koreans’ expansion of world view during the second half of 20th century. Academic studies related to literary critism and tourism have recently increased, while no research in the field of geography were done yet. This study analyzes the purposes of the travel he explicitly proposed, that is, ‘geographic exploration’ and ‘human lesson’, in terms of how the purposes were achieved in his travel and described in the writings, and which could eventually attract contemporary Korean readers. Chan-sam Kim, an elite geography scholar as well as a traveller of yellow race from a developing country, has held an ambivalent thoughts and behaviors based on his in-between position. The reason of travel for himself and readers was to identify and spread universal humanism. The other purpose of ‘geographical exploration’ mainly consisted of scientific and aesthetic observations and descriptions of the environment-human relationship based on environmental determinism. Objectifying the environment and the indigenous within it as a whole, he took the noble view point and the bird’s eye view from a higher poin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