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유아기 첫 자녀를 둔 다문화 가족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Child-rearing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Mothers of First-born Children in Early Childhood

초록/요약

본 연구는 한국인 대학생과 한국 거주 중국인 유학생(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캐주얼 셔츠의 색채(색상과 톤), 무늬, 질감 등 감성표현요소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국적과 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캐주얼 셔츠에 대한 색상 선호도는 국적과 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대학생은 중국인 유학생에 비해 연두, 초록, 청록, 남색, 보라, 갈색, 흰색, 검정 색상을 더 선호하였고, 중국인 유학생은 주황, 분홍 색상을 더 선호하였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파랑, 회색 색상을 더 선호하였고, 여학생은 분홍 색상을 더 선호하였다. 국적과 성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빨강, 노랑, 파랑, 보라, 갈색 색상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캐주얼 셔츠에 대한 톤 선호도는 밝은 톤, 어두운 톤, 선명한 톤의 3가지 톤 요인으로 분류되었는데, 국적과 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대학생은 중국인 유학생에 비해 어두운 톤, 선명한 톤을 더 선호하였고, 중국인 유학생은 밝은 톤을 더 선호하였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선명한 톤을 더 선호하였고, 여학생은 밝은 톤을 더 선호하였다. 국적과 성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밝은 톤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캐주얼 셔츠에 대한 무늬 선호도는 국적과 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대학생은 중국인 유학생에 비해 스트라이프를 더 선호하였고, 중국인 유학생은 도트, 꽃, 페이즐리, 깅엄체크를 더 선호하였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페이즐리를 더 선호하였고, 여학생은 타탄체크, 깅엄체크를 더 선호하였다. 국적과 성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깅엄체크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질감 선호도는 유연감, 강경감, 경량감, 요철감의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는데, 국적과 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대학생은 중국인 유학생에 비해 강경감을 더 선호하였고, 중국인 유학생은 유연감, 요철감을 더 선호하였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강경감, 요철감을 더 선호하였다. 국적과 성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는 강경감과 경량감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more

초록/요약

This research tried to examine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Chinese exchange students living in Korea to find out their differences by nationality and gender using the preference analysis of sensibility expression elements such as color, tone, pattern, texture, etc. that were seen for casual shirts worn by the students. Here, the color and tone preference for casual shirts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nationality and gender of the students.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yellow-green, green, blue-green, navy, purple, brown, white, and black, while the Chinese students preferred orange and pink.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dark and vivid tones, while Chinese students usually preferred bright toned casual shirts. Notably, the pattern preference for casual shirts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nationality and gender.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to wear a striped pattern, while Chinese students preferred casual shirts that were dotted, floral, paisley, and gingham checked. Male students preferred paisley, while female students preferred the patterns of tartan and gingham checked. Texture preference for casual shirts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that is, softness, stiffness, lightness, and roughness. Texture preference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nationality and gender.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eferred casual shirts exhibiting the texture of stiffness, while Chinese students preferred shirts characterized by softness. Male students preferred stiffness and roughnes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