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000년대 이후의 섬유조형을 통해 본 페미니즘의 표상들

The Representational Images of Feminism in Fiber Art Since 2000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21세기 섬유조형작품에서 전개된 페미니즘의 표상이 여성성에 대한 관례적인 정의를 해체하거나 섹슈얼리티의 사회적 의미를 환기시키는 방식을 페미니즘의 주요 쟁점과 연계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남성적인 시각에서 젠더화된 여성성을 교정하는 범례로서 주목한 현대예술가는 라일리, 바르보자, 루카스, 버크만, 메사제, 페리, 쉐러이다. 이들의 인체조형작품을 중심으로 생애주기의보편적 범주 내에서 성찰할 수 있는 네 가지 의제들인 과정 중에 있는 주체로서의 여성의 몸, 전복적유희를 발화하는 섹슈얼리티, 공적 주체가 될 기회를 박탈하는 모성 신화, 주변화를 가속화시키는 여성의 노화 등과 관련하여 표상의 의미작용을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연구 내용의 핵심을 이룬다. 연구 방법은 상기한 생애주기의 전환점을 기준으로 조형작품을 표집하여 분류하고 나서 작품 분석의 이론적 기반으로 버틀러, 크리스테바, 이리가레, 손택, 팔루디의 대표 저작을 참조하여 표현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여성주의의 네 가지 패러다임에서 여성의 몸은 첫째, 고정된 젠더 규범에 대항하여 차이를 수렴함으로써 유동적인 여성의 삶을 은유하는 기호가 되며 둘째, 부분들로 구성된 하나의 전체로서 섹슈얼리티를 주체적으로 체험하고 체현하는 장소가 되며 셋째, 가부장적 모성 숭배의 서사 속에서 여성을 관리 가능한 역할로 축소하기 위한 억압적 장치가 되며 넷째, 사회적 성차별에 노인차별이 가중되어 배제가 행해지므로 실존의 불안을 상징하는 표상이 됨을 규명할 수 있었다. 여성적인매체로 저평가되어 온 섬유를 매체로 하는 페미니즘 미술이 남근 중심적 상징계를 해체하거나 여성들의 삶의 경험을 조형예술 작품으로 제시해 온 부단한 노력의 성과들을 단편적으로나마 들여다볼 수있는 통로가 되길 기대한다.

more

초록/요약

The paper aims to examine how feminist representations in 21st-century fiber art dissolve the conventional definition of femininity or evoke the social meaning of sexuality in connection with the major issues of feminism. The contemporary artists who correct gendered femininity from a male-oriented perspective are Riley, Barboza, Lucas, Buckman, Messager, Perry, and Scherer. Focusing on their figurative artworks, the core of the research content is to carefully analyze the significations of their representations in relation to four agendas that can be reflected within the universal category of the life cycle: the female body as a subject in the process, sexuality conducting subversive ecstasy, motherhood mythology depriving the opportunities of becoming a public being, and aging in women accelerating marginalization. The research method is of collecting and classifying artworks based on the turning point of life cycle described above, and then grasping the expressions in conjunctions with books of Butler, Kristeva, Irigaray, Sontag, and Paludi as the theoretical basis of 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four paradigms of feminism, the female body is elucidated as a sign of metaphorizing the life of an adaptable being by converging differences against a fixed gender norm, a place experiencing and embodying sexuality as a subjective whole composed of small parts, an oppressive device to reduce women to a manageable role in the narrative of patriarchal maternity, and a symbol of the anxiety of existence caused by elder discrimination weighted upon social gender discrimination. I hope the paper to be a passageway of recognizing the remarkable outcomes dismantling the phallus-centered symbolic system to present women's life experiences through representational images in fiber art of our time, which have been undervalued as feminine media.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