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등 사회과 교사의 창의교육 실천 양상과 교사 전문성 함양에 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Practices of Creativity Education and Their Professional Growth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사회과 교사의 창의교육 수업 경험과 이를 통한 교사 전문성 함양을 질적으로 탐구하여 사회과 수업에서 창의교육의 현장 적합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서울 소재 E 사범대학의 창의교육 거점센터 협력교원인 중등 사회과 교사 4명이 동일한 창의교육 수업을 실시한 사례를 대상으로, 이들의 창의교육 경험과 실천 양상이 교실 안팎의 환경에 따라 어떻게 다양화되는지, 교사전문성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의 배경지식과 사전 경험, 교사의 지위와 역할, 교과내·교과간 협력 가능성과 분위기, 실행 시기의 네 가지 교실 안팎 환경 요인이 창의교육의 실천 양상과 질을 다양화하였다. 창의교육 실천 경험은 이들 교사의 교수학습법 역량, (교과)교육과정 이해, 학생 이해 및 공감력이라는 세 가지 측면의 교사 전문성 함양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등 사회과 수업 현장에서의 창의교육 실천 가능성 및 현장 적합성을 높이는 방안과 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explored four secondary social studies teachers’ experiences of practicing creativity•convergence education in classroom and their professional growth. Specifically, in what ways their experiences and practices were diversified given multiple contextual aspects within and outside classrooms, and if and how such experiences influenced these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were examined.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four aspects as contextual conditions that diversified these teachers’ creativity education practices: students’ previous knowledge and experiences, teachers’ status and roles in school, possibilities of inter/intra-subject area cooperation, and time. Experiences of creativity education practices in classroom influenced the teachers’ professional growth in the following three manners: competencies for pedagogy and instructional methods, indepth understanding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deepened empathies for students.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ssibilities of creativity education and its site suitability for realities of classroom.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