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학습성과에 대한 메타분석

Effects of design thinking on students’ learning outcomes: a meta-analysis

초록/요약

본 연구는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학습성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디자인씽킹 효과에 대한 통합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부터 2020년 2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와 학위논문 중 총 30편의 논문을 선정하였고 R version 3.6.3 프로그램의‘meta’와 ‘metafor’, ‘ggplot2’ 패키지를 통해 총 99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학습이 전체 학습성과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는 0.78로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학습이 학습성과의 영역별 효과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는 사회적(=.99), 인지적(=.79), 정의적(=.56) 영역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영역은 큰 효과크기를,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은 중간 효과크기를 보였다. 셋째, 조절변인으로 선정한 연구 대상, 참여인원 수, 모둠구성원 수, 실시횟수, 회당 활동시간, 수업유형, 중심교과 및 프로그램, 디자인씽킹 적용 모형 및 단계, 아홉 가지 변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학습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n integrated conclusion about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 effect through the meta-analysis of learning outcomes using design thinking. For this study, a total of 30 papers were selected from academic journals and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15 to 2020. A total of 99 effect sizes was analyzed through the 'meta', 'metafor', and' ggplot2' packages of the R version 3.6.3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 of learning using the design thinking on the overall learning performance was 0.78, showing a medium effect siz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the size of the average effect of learning using design thinking on the effect of each area on learning outcomes was large in the following order: social (=.99), cognitive (=.79), and affective (=.56) areas. The social domain showed a large effect size, and the cognitive domain and the affective domain showed intermediate effect sizes. Third, the average effect size of design thinking according to adjustment variables was analyzed by selecting nine variables, including the subject of the study, number of participants, number of group members, number of implementations, time per session, class type, main subject and program, design thinking application model and stage. All these variables reach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Further implication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this study.

more